절감, 재사용, 재활용
도쿄 2020 조직위원회는 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올림픽 건설 규모를 줄여 43개의 경기장 중 8개의 경기장만 신설하였고 25개의 경기장은 기존 시설을 이용하였음.
기존 시설의 일부는 1964 도쿄 올림픽 및 패럴림픽대회 때 사용된 경기장이기도 하며 시설 대부분은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리모델링을 실시함.
이 밖에도 10개의 베뉴는 건설비용과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임시 시설이며 올림픽 성화대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지어진 임시 주택에 사용되었던 알루미늄이 재사용된 것임.
성화 봉송 주자들이 입은 티셔츠와 바지도 재활용 플라스틱병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제품임.
5,000여개의 메달은 일본 국민들이 기부한 전자 제품 7만 9천 톤에서 추출되었으며 올림픽 시상대 역시 플라스틱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만들어졌음.
이뿐만 아니라 도쿄 2020 조직위원회는 대회를 위해 입수한 제품의 99%가 재활용되고 폐기물의 65%도 재활용될 예정이라고 밝힘.
가령, 올림픽 선수촌 플라자 건설을 위해 지역자치단체들이 기부한 4만 개의 목재들은 폐막 후 지역자치단체에 되돌려질 예정이며 업무 및 행사 진행 등에 필요한 65,000여개의 컴퓨터, 태블릿, IT 가전제품, 19,000여대의 사무실 책상, 의자, 기타 설비 등도 새로 구입하지 않고 대여 제품을 사용하고 있음.
선수들이 사용하는 침대 1만 8천개는 재활용이 가능한 골판지 구조와 플라스틱을 재사용한 매트리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가 2m 이상이고 최대 200kg까지 지탱이 가능함.
탄소 중립
도쿄 2020 운영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에너지는 재생 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는데 건설 폐기물 및 나무 조각들을 사용하는 태양 전지 배열기와 바이오매스 기술을 이용함.
스케이트보딩, 사이클 BMX 레이싱, 사이클 BMX 프리스타일 경기가 열리는 아리아케 어반 스포츠 파크의 에너지 운영은 후쿠시마에서 생산된 재생 태양광으로만 이루어질 전망임.
재생 에너지를 사용할 수 없는 시설의 경우에는 재생 에너지 생산량 인증을 통해 거래하는 그린전력인증제도를 사용해 비재생 에너지 사용을 보완할 예정임.
도쿄 2020 올림픽 및 패럴림픽대회의 개·폐막식이 열리는 4일간 배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탄소 72만 톤은 탄소 배출권 거래제를 통해 상쇄될 것으로 예측되며 이로써 도쿄 2020은 배출한 탄소를 흡수하여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는 개념인 탄소 중립을 달성할 것으로 예측됨.
탄소 배출량 계산에는 대회를 위한 운송, 건설 등에서 발생한 모든 직간접 배출물이 포함됨.
도쿄도는 2030년까지 도시 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0년 대비 절반으로 줄이고 재생 에너지 사용을 약 50% 늘리겠다고 발표함.
올림픽 성화 봉송 행사 동안에는 수소 원료가 일부 사용되었으며 선수촌의 기숙사, 식당, 훈련 시설 등의 전기와 온수 사용에도 수소 원료가 이용될 예정임.
대회가 끝나고 난 뒤 선수촌은 수소 전기 아파트, 학교, 상점 등의 시설로 탈바꿈하여 일본 최초의 수소 발전 도시가 될 전망임.
500대의 수소연료전지자동차와 100대의 수소연료 전지 버스도 올림픽 교통수단으로 제공되었음.
양성평등과 다양성
도쿄 2020은 여성 선수 비율 49%, 남성 선수 비율 51%로 선수 참가 비율이 균형을 이룬 최초의 올림픽이며 여성 선수를 위한 병원이 올림픽 및 패럴림픽 선수촌 내에 최초로 설치됨.
도쿄 2020 조직위원회 위원장 Seiko Hashimoto는 지난 2021년 3월 집행위원회에 여성 위원 12명을 추가 선임하여 여성 대표 비율을 20%에서 42%로 끌어올렸으며 다양성과 포용성을 담당하는 전담 부서를 두어 양성평등과 다양성 포용을 위한 구체적인 단계를 제시하고 있음.
‘다양성 속의 단결’을 의미하는 도쿄 2020 엠블럼 속 체크무늬는 서로 다른 국가, 문화, 사고방식을 상징하며 다양성을 향한 도쿄 2020 조직위원회의 노력을 잘 보여줌.
이 밖에도 조직위원회는 성 소수자 문제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최초로 공식 인증받은 올림픽 프라이드 하우스를 설치한 바 있음.
미래를 위한 건물
대회 개최를 위한 주요 지역인 헤리티지 구역과 도쿄만 구역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설계되었음.
헤리티지 구역에서는 도쿄 1964 탁구 경기가 열렸던 도쿄체육관, 도쿄 1964 유도 경기가 열렸던 일본 무도관 등의 상징적인 장소들을 새롭게 탈바꿈하였으며 개폐회식이 열리는 일본 국립경기장에는 시원한 바람이 순환할 수 있는 거대한 처마가 설치되어 있어 에어컨을 대체할 예정임.
한편, 도쿄만 구역은 접근성을 개선한 현대적인 공간으로 혁신적인 도시개발 모델이 적용되었는데 수영 경기가 열리는 도쿄 아쿠아틱스 센터는 수영장의 길이와 깊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태양광과 지상 열 교환기를 이용하여 운영될 예정임.
이뿐만 아니라 두 구역의 사이에 위치한 간척지 위에 건설된 44㎢ 규모의 올림픽 선수촌은 전기 및 온수 이용에 수소 원료를 사용하여 수소 기반 사회의 모델이 될 전망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