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2020 특집> 패럴림픽대회의 첨단 기술 > 최신뉴스

본문 바로가기
최신뉴스
최신 국제 스포츠 뉴스 소식을 전해 드립니다.
국제스포츠 NEWS
최신뉴스
TOP
<도쿄 2020 특집> 패럴림픽대회의 첨단 기술
2021-08-24 09:00:00
인공 보철물부터 탄소 섬유까지 새로운 소재와 개선된 디자인은 패럴림픽대회에 사용되는 첨단 기술을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주축이 됨.


2020 도쿄 올림픽대회의 기술적 혁신은 2020 도쿄 패럴림픽대회에서도 지속될 전망임. 기술의 발전은 장애인 스포츠 분야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쳐왔으며 경기 양상의 변화를 초래하기도 하였음.


저난도에서부터 고난도까지 다양한 보조 기술은 선수 개개인과 용도에 맞춤화된 장비로 전문화되었으며 다양한 종목에서의 기술적 혁신은 패럴림픽대회 성과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함.


배드민턴 종목 휠체어 


패럴림픽대회 배드민턴 종목은 도쿄 2020에서 첫 선을 보이는 종목으로 선수들은 길고 짧으며 빠르고 느린 다양한 기술들을 보여줄 예정임.


패럴림픽대회 배드민턴 종목에 사용되는 휠체어에는 등받이와 여분의 바퀴가 있어 선수들이 넘어지지 않고 위치를 빠르게 전환하는데 용이함. 이는 높은 셔틀콕을 강하게 때려넣는 스매시나 지속적인 랠리를 가능하게 함.


사이클 종목 트랙경기 자전거 


시속 60km 이상의 속도로 트랙을 경주하는 패럴림픽대회 사이클 선수는 장애 종류에 따라 일반 경주용 자전거를 변형할 수 있음. 


팔에 장애가 있는 선수의 경우 이동성이 더 좋은 손에 맞춰 자전거 핸들을 변형할 수 있으며 다리에 절단장애를 가진 선수는 의족을 페달에 고정시킬 수 있음.


양궁 종목 릴리즈 보조기구 


패럴림픽대회 양궁 종목의 릴리즈 보조기구는 경기 중 사용이 허용되는 보조 장비의 하나로 선수들은 리커브 활과 함께 사용되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 릴리즈 보조기구를 손목, 팔꿈치, 어깨에 부착하거나 입으로 물어 화살 발사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음. 


이 밖에도 양궁 종목에는 인공 팔, 손목 부목 등이 사용될 수 있음.


육상 종목 트랙경기 의족


패럴림픽대회 육상 종목 트랙경기에 사용되는 의족은 가벼운 탄력으로 절단장애를 가진 선수들의 종아리 혹은 발목의 기능을 대체함. 


J 모양을 띄고 있는 의족은 가벼운 소재인 탄소섬유로 제작되어 단거리 달리기, 멀리뛰기, 높이뛰기 등의 경기에서 용이하게 쓰임.


휠체어농구 종목 휠체어


패럴림픽대회 휠체어농구 종목에서 사용되는 휠체어는 선수의 장애 유형에 따라 맞춤 제작되는데 하체의 움직임이 적은 선수의 경우 안정성을 위해 등받이가 높게 제작되며 비교적 움직임이 용이한 선수의 경우 몸을 뒤로 쉽게 젖힐 수 있도록 휠체어 뒤쪽에 바퀴를 추가함. 


휠체어의 높이는 육상 종목 전용 휠체어보다 높으며 지름은 60~80cm로 커서 방향 전환과 멈추는 동작에 용이함. 또한 기동성을 높이기 위해 휠체어는 바닥으로 20° 구부러져 있음.


육상 종목 휠체어레이스 휠체어와 장갑


패럴림픽대회 육상 종목 휠체어레이스에 사용하는 휠체어는 주로 알루미늄 소재로 만들어지지만 최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가벼운 탄소 섬유 기술이 사용되고 있음. 


다른 패럴림픽 종목과 마찬가지로 육상 종목의 휠체어 역시 선수의 몸에 맞게 변형이 가능함. 


휠체어레이스 휠체어 바퀴는 10~15° 의 기울기가 있어 선수가 속도를 내는데 안정성을 높임. 


선수들이 휠체어를 밀 때 사용하는 장갑은 바퀴에 추가적인 힘을 불어넣어 속도를 높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데 최근에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맞춤형 장갑을 제작하고 있음.


휠체어럭비 종목 휠체어


패럴림픽대회 휠체어럭비 종목 휠체어는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알루미늄 또는 티타늄을 이용해 제작되며 안정성과 기동성을 높이기 위해 선수의 장애 유형에 따라 5~6개의 바퀴를 달 수 있음. 


공격수 휠체어의 경우 앞바퀴에 알루미늄으로 된 날개가 달려있는 것이 특징이며 수비수 휠체어의 경우 휠체어 앞부분에 고리가 있어 상대를 방어하기에 용이함.


수영 종목 태핑(Tapping) 장비 


시각 장애를 가진 선수들은 경기 중 벽에 근접하거나 방향을 전환해야 할 때 지원요원(Tapper)의 도움을 받을 수 있음. 


지원요원은 끝이 둥글고 부드러운 태핑(Tapping) 장비를 이용해 선수의 머리, 어깨, 등을 두드려 선수들에게 안내를 제공함. 


태핑 장비는 규격화된 장비가 없기 때문에 선수가 직접 제작할 수 있으며 경기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IPC의 승인이 필요함.



출처 - IPC

ISF에서 매주 발행하는
국제스포츠 지식·정보를 만나보세요!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