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 대회 총 19일 - 339개 세부경기
- 선수 11,259명 참가(48% 여자 선수, 52% 남자 선수)
- 2,401개 메달 수여 - 93개국 메달 획득
- 205개국 국가올림픽위원회(NOC,National Olympic Committee) + 국제올림픽위원회(IOC,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난민선수단 참가
- 난민선수단 29명 12개 종목 참여 - 3개국 국가 최초 올림픽 메달 획득: 부르키나파소, 투르크메니스탄, 산마리노
- 3개국 국가 최초 올림픽 금메달 획득: 버뮤다, 필리핀, 카타르
- 올림픽 솔리다리티 장학생 836명 대회 참여
- 올림픽 솔리다리티 장학생 금메달 27개, 은메달 32개, 동메달 42개 획득 및 164개 졸업장 수여.
- 2020 도쿄 올림픽대회 143명 올림픽 솔리다리티 장학금 수여자(여자 63명, 남자 80명), 개막식 기수로 참여.
<TV 및 방송>
- 도쿄 2020 콘텐츠는 TV, 디지털 플랫폼, 어플리케이션 및 소셜미디어를 통해 그 어느 때보다 많은 화면을 사용해 팬들에게 제공되었음.
- 주최국의 관심도가 역대로 가장 높은 올림픽대회로 손꼽힘. (10명 중 9명의 일본인이 도쿄 2020 콘텐츠 일부를 시청함.)
- 독점중계방송사 중계 플랫폼 개수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우며 도쿄 2020을 “스트리밍 대회”로 일컫게 됨. - 세계적으로 도쿄 2020 TV 시청률이 상승하며 방송사 관계자들에게 즐거움을 안겨줌.
<디지털>
- IOC 자체 플랫폼 이용률을 보게 되면 도쿄 2020은 역대 올림픽대회 중 가장 참여도가 높은 대회로 남음. 1억 75백만 이상의 이용자들이 올림픽 홈페이지와 도쿄 2020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함. 이는 리우 2016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임.
- 2021년 한 해 동안 IOC와 도쿄 2020 소셜미디어 포스팅을 통해 생성한 영상 시청 수, 공유 그리고 좋아요는 50억 회를 넘음.
- 2억 5천만 개 이상의 응원 문구가 올림픽대회 참가팀들을 위해 전 세계로부터 날아 들어옴.
- 여자 선수들은 이번 올림픽대회 기간 동안 소셜미디어에서 가장 많이 회자됨. 트위터에서 가장 많이 멘션된 5명은 모두 여자 선수들임.
- 올림픽대회의 평등한 소셜미디어 방침으로 여자 선수들이 주가 되어 나오는 포스팅이 남자 선수들이 주가 되어 나오는 포스팅보다 50% 가량 더 많았음.
<지속가능성 그리고 레거시>
- 도쿄 내 주기적인 신체활동을 하는 성인 비율이 2012년 9%에서 2021년 60.4%로 증가함.
- 이번 올림픽 및 패럴림픽대회에 사용되는 43개의 경기장 중 처음부터 지어진 경기장은 8곳 뿐임. 도쿄 2020의 10개 경기장은 임시로 지어졌으며 1964 도쿄 올림픽대회에서부터 사용되던 경기장 5개를 포함한 25개는 기존에 지어진 경기장임.
- 올림픽대회 역사상 처음으로 수소에너지가 올림픽 토치와 성화대 그리고 올림픽 선수촌 일부에 사용됨.
- 올림픽대회 역사상 처음으로 올림픽 메달과 시상대 모두 100% 재활용품으로 제작됨.
- 5,000개의 올림픽 메달 제작을 위해 621만대의 휴대폰과 약 79,000톤의 전자제품을 기증함.
- 올림픽 선수촌 24개 동은 일본 최초 수소에너지 마을이 되어 국제교류 및 여러 세대 간의 장벽 없는 활동의 거점이 될 예정임.
- 2020 도쿄 올림픽 및 패럴림픽대회에 사용되는 골판지 침대 18,000여 개는 모든 일정이 끝난 후 종이로 재생될 예정임.
한편, 지난 2021년 8월 8일 오후 8시(현지시간) 일본 도쿄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린 폐막식을 끝으로 17일간의 여정을 마무리하였으며 올림픽대회를 잇는 2020 도쿄 패럴림픽대회는 오는 8월 24일부터 9월 5일까지 개최될 예정임.
출처 - IO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