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국제올림픽위원회는 대만이 1981년 이후 사용한 '차이니스 타이베이' 명칭을 바꾼다면 올림픽에 참가할 수 없다는 명확한 입장을 반복해 밝힌 상태다.
나아가 IOC는 대만 올림픽위원회의 운영까지 정지시킬 수 있다고까지 경고한 상태다.
2년 앞으로 다가온 2020년 도쿄 하계 올림픽 출전 길이 막힐 위기에 직면한 대만 올림픽위원회에는 비상이 걸렸다.
올림픽 출전을 준비하는 일부 선수들은 24일 국민투표일에 거리로 나가 유권자들에게 반대표를 던져달라고 직접 호소할 예정이다.
대만의 국민투표는 1천900만명의 유권자 중 25%가 찬성하면 통과된다.
일반적인 다른 나라의 국민투표보다 문턱이 낮은 편이다. 따라서 올림픽 출전권 박탈 등 역풍을 우려하는 목소리에도 '대만' 명칭을 선호하는 유권자들이 강하게 결집할 경우 통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국민투표가 통과된다고 해서 대만이 곧바로 올림픽 참가 명칭을 바꾸게 되는 것은 아니다.
국민투표가 통과되면 정부는 3개월 안에 국민투표 결과를 반영한 법안을 입법원(국회)에 제출해야 하고 입법원은 이를 심의해 통과할지를 결정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명칭을 변경하는 문제는 결국 국회에 달렸다는 얘기다.
올림픽 출전 여부를 떠나 대만의 올림픽 참가 명칭 변경 문제는 양안 관계(중국 본토와 대만 관계)를 넘어 지역 정세에도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올림픽 참가 명칭 변경을 원하는 국민 여론이 확인되면 독립 성향의 차이잉원(蔡英文) 총통의 '탈중국화' 정책이 지속되면서 중국 본토와의 대립이 심화할 가능성이 크다.
미국 정부는 이 같은 움직임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대중 압박 카드로 활용해왔다는 점에서 대만의 탈중국화 움직임은 양안 관계를 넘어 미중 관계에까지 복합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하나의 중국' 원칙을 인정하지 않는 독립 성향의 차이 총통 취임 이후 양안 간 군사, 외교적 긴장이 높아진 가운데 중국 군부는 대만 독립 추구 움직임이 가시화할 경우 무력 사용을 불사하겠다는 강경한 신호를 수시로 발신하고 있다.
기사원문
https://www.yna.co.kr/view/AKR20181120053100089?input=1195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