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C, 2024-2028 올림픽 개최지 동시선정 확정
2017-07-12
15:15:48
지난 11일(현지시각) 진행된 IOC 특별총회(Extraordinary Session)에서 ‘2024 및 2028 올림픽 개최지’를 동시에 선정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이밖에도 ’2026 동계 올림픽 개최지 선정‘ 및 ’IOC 2016 연례 보고서‘를 공개함.



출처 - Around the Games - Insidethegames - Sportcal - IOC

(왼쪽부터) LA 시장 Eric Garcetti, IOC 위원장 Thomas Bach, 파리 시장 Anne Hidalgo (출처: IOC)
줄간격
2024-2028 올림픽 개최지 동시선정 확정 IOC가 2024 올림픽 유치전에 ‘미국 LA’와 ‘프랑스 파리’만 남은 現 상황의 “특별성과 이에 따른 독특한 기회(exceptional circumstances and unique opportunities)”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최근 ‘2024 및 2028 올림픽 개최권’을 남은 두 도시에 부여할 것이라는 의견들과 제안이 있어왔으며, 이번 특별총회를 통해 만장일치로 해당 사안이 승인됨. 이로써 IOC-LA-파리는 오는 9월, 페루 리마에서 개최 예정인 ‘제131차 IOC 총회’까지 남은 기간 동안 어느 도시가 어느 올림픽을 개최할지에 대한 3자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며, IOC 위원장 Thomas Bach는 이에 대해 이르면 다음 달 최종 결정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고 언급함. 그러나 IOC는 만약 논의가 성공적인 결말을 맺지 못할 시, 9월에 개최 예정인 ‘제131차 IOC 총회’에서 투표를 통해 개최지 선정이 진행될 것이라고 공식 발표함. 관련자료 ⦁ 집중조감 2016-3호, ‘2024년 올림픽 개최지 선정’줄간격
2026 동계올림픽 개최지 선정 과정
IOC는 ‘2026 동계올림픽대회’ 개최지 선정 과정을 단순화하고 비용을 최소화하여 유치에 관심 있는 국가올림픽위원회(NOC, National Olympic Committee)들에게 더욱 많은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유치절차를 일부 개정함. 초청단계(Invitation Phase)를 기존 6개월에서 1년으로 연장하여 관심 도시들이 더욱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제공하고, 본 선정 과정을 2년에서 1년으로 줄여 후보 NOC들의 비용을 줄이는 방안을 채택함. 이밖에도 IOC는 모든 단계에서 후보 NOC들에 더욱 많은 적문적인 지원과 협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힘. 이로써 2026 동계올림픽 개최지 선정과정의 첫 단계인 초청단계는 2017년 9월부터 진행될 예정임.
지난 11일, 스위스 로잔에서 진행된 IOC 특별총회 (출처: IOC)
줄간격
2016 연례보고서 및 재무제표 공개 IOC는 지난 11일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IOC 특별총회(IOC Extraordinary Session)에서 2016년 연례보고서(Annual Report 2016) 및 재무제표(Financial Statements)를 최종 발간함. 2016년 연례보고서에는 ‘올림픽 아젠다 2020’ 권고안 29항(Recommendation 29 of Olympic Agenda 2020)’에 따른 ‘투명성 향상(Increase Transparency)‘과 관련된 활동들에 대한 결과가 포함 되어있음. 또한, 2016년 IOC 주요 활동내역, 재무제표 회계감사, IOC 위원들의 보상, 2016 리우올림픽 하이라이트 및 최초의 난민 올림픽팀 관련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 한편, 국제금융보고기준위원회(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에 따르면 IOC는 국제금융보고기준을 적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IOC는 조직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높은 단계의 회계감사기준을 통해 재무제표를 공개함.
최종 발간된 ‘2016년 연례보고서’를 들고 있는 IOC 위원장 Thomas Bach (출처: IOC)
줄간격
IOC 특별총회 불참한 12명 IOC는 지난 11일,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IOC 특별총회(IOC Extraordinary Session)에 불참한 12명의 IOC 위원들의 명단을 공개함. 01 Sheikh Ahmad Al-Fahad Al-Sabah – 쿠웨이트 (Kuwait) 02 HH Amir Sheikh Tamim Bin Hamad Al-Thani – 카타르 (Qatar) 03 Sergey Bubka – 우크라이나 (Ukraine) 04 Philip Craven – 영국 (United Kingdom) 05 Frank Fredericks – 나미비아 (Namibia) 06 Daniel Gyurta – 헝가리 (Hungary) 07 Gerhard Heilberg – 노르웨이 (Norway) 08 HRH Crown Prince Frederik – 덴마크 (Denmark) 09 HRH the Princess Royal – 영국 (United Kingdom) 10 Patrick Hickey – 아일랜드 (Ireland) 11 Nat Indrapana – 태국 (Thailand) 12 Kun Hee Lee – 대한민국 (South Korea) 이번 특별총회에 불참한 12명의 위원들은 각자의 국∙내외 이슈 및 건강상의 문제로 총회에 불참하였으며, 규정에 따라 미국 및 프랑스 국적을 가진 5명의 위원들 또한 ‘2024-2028 올림픽 동시선정’ 투표에 참여하지 않아 총 78명이 투표권을 행사함.
IOC 오륜기 (출처: IOC)
줄간격
같이보기 ⦁ IOC 집행위 회의, 선수자격 IOC 위원 후보자 등록 승인 ⦁ ‘평창 2018‘서 독립검사기관(ITA)이 도핑테스트 주도 ⦁ IOC 집행위 회의, 주요 논의 결과 공개 ⦁ IOC, ‘2024 올림픽’ 후보도시 평가보고서 공개출처 - Around the Games - Insidethegames - Sportcal - IOC
최근뉴스
최근뉴스
HOT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