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를 움직이는 중국과 중국의 대표 기업들이 스포츠 산업에 막대한 투자를 이어 나가고 있음.
중국 정부가 스포츠 산업 활성화를 위해 정책적으로 움직이고 있음.

|
|
세계경제에서 중국이 가지는 위상 |
|
|
○ |
|
중국은 상품과 서비스 생산면에서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시장으로 여겨지며, 국제통화기금(IMF: International Monetary Fund)은 중국이 2016년 국제경제활동의 18%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함. |
중국 국무원(State Council)은 지난 2014년 10월 스포츠 산업 발전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고, 2025년까지 스포츠의 산업가치(industrial value)를 5조 위안(한화 약 911조 7천억원) 이상으로 끌어올리겠다고 언급한 바 있음.
이러한 정부 정책에 발맞추어 Wanda Group을 포함한 중국의 대표 기업들이 스포츠 사업에 대규모 투자를 감행하고 있음.
중국 최대 부동산 기업인 Wanda Group이 광저우에 스포츠 본부(headquarters)를 신설한다고 밝히며 공격적인 스포츠 사업 확장에 나섬.

|
|
Wanda Group |
|
|
○ |
|
Wanda Group은 창업 초기 부동산 개발로 큰 성공을 이룬 후 서비스업 위주(엔터테인먼트 및 스포츠)로 사업 구조를 개편하고 있음. |
|
|
○ |
|
지난 2015년 Wanda Group의 매출은 전년 대비 19.1% 증가한 2천 901억 6천만 위안(한화 약 52조 5천억원)을 기록했으며, 총자산 규모 또한 전년 대비 20.9% 증가한 6천 340억 위안(한화 약 114조 7천5백억원)으로 집계됨. |
중국 Xinhua 통신에 따르면, Wanda Group은 지난 2015년 12월 28일 광저우시와 스포츠 본부 설치에 대한 협정을 맺음. 해당 본부의 건설에는 약 10억 위안(한화 약 1천 780억원)이 투자될 예정임.
Wanda Group의 Wang Jianlin 회장은, 광저우에 매년 최소 2개의 국제스포츠대회를 유치하겠다고 언급함.

Wanda Group의 Wang Jianlin 회장
By World Economic Forum [CC BY-SA 2.0], via Wikimedia Commons
한편, Wanda Group은 스포츠 사업에 지속적으로 투자를 추진하며 국제스포츠계의 주목을 받고 있음.
Wanda Group은 지난 2015년 1월 스페인 프로축구클럽인 Atletico Madrid의 지분 20%를 4천 5백만 유로(한화 약 589억원)에 사들였으며, 2015년 2월에는 세계적인 스포츠 마케팅 기업 Infront Sports and Media의 지분 68%를 11.5억 USD에 인수함.
2015년 11월에는 국제트라이애슬론대회 아이언맨(Ironman)을 관장하는 World Triathlon Corporation을 6억 5천만 유로(한화 약 8천 5백억원)에 인수하는 등, 과감한 행보를 보이고 있음.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Alibaba Group은 지난 2015년 9월 스포츠 관련 사업을 전담할 Alisports를 설립하고, e커머스(E-commerce), 미디어, 마케팅, 비디오, 홈엔터테이먼트, 클라우드 컴퓨팅 등 인터넷 기반 기술을 활용해 스포츠 산업 구조를 변화시키겠다고 밝힘.

|
|
Alibaba Group |
|
|
○ |
|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의 약 80% 점유율을 차지하며, Alibaba Group을 통해 이루어지는 거래는 중국 국내 총생산(GDP)의 2%에 이름. |
|
|
○ |
|
바이에른 뮌헨, 레알 마드리드 등 축구 구단과의 파트너십을 맺고 있으며, 중국 광저우 에버그란데의 지분 50%를 보유하고 있음. |
Alisports는 2016년 1월 미국프로풋볼리그 NFL와 중계권 계약을 체결하고, 국제복싱연맹(AIBA: International Boxing Association)과는 협력 강화를 위한 MoU를 체결하는 등 빠르게 스포츠 산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음.
Alibaba Group의 Jack Ma 회장은 2016년1월 19일 UN(United Nations)의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옹호자(Advocate) 중 한 명으로 임명되기도 함.
IOC가 2016년 1월 26일 발표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Ma 회장은 IOC 위원장 Thomas Bach와 면담을 갖고 스포츠와 개발 활동에 대한 논의를 나눈 것으로 알려짐.

Alibaba Group 회장 Jack Ma
By World Economic Forum from Cologny, Switzerland [CC BY-SA 2.0], via Wikimedia Commons
한편, 중국 최대 인터넷 서비스 업체인 Tencent Holdings는 지난 2015년 1월 5억 USD를 투자해 미국 프로농구리그 NBA와의 중계권 계약을 향후 5년간 연장함.
2018평창동계올림픽과 2020도쿄올림픽에 이어 2022베이징동계올림픽으로 동북아시아 3국의 연속 올림픽 개최를 마무리지을 중국이 전 세계 스포츠 산업 판도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됨.



국제스포츠협력센터(ISC)의 교육 프로그램 “Champions of Tomorrow(내일의 챔피언)” 中
한·중·일 청소년 선수 569명이 3국의 연속 올림픽 개최를 축하하고 있음.
같이보기
세계적인 스포츠 마케팅 기업 Infront, 중국 기업에 인수
CES, 스포츠에 주목
중국, 스포츠 지출 확대
중국, 생활스포츠에 약 8천억 USD 이상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