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 거버넌스: 스포츠 조직의 자치성을 위한 필요조건 > 최신뉴스

본문 바로가기
최신뉴스
최신 국제 스포츠 뉴스 소식을 전해 드립니다.
국제스포츠 NEWS
최신뉴스
TOP
굿 거버넌스: 스포츠 조직의 자치성을 위한 필요조건
2015-12-24 12:58:32
 
국제스포츠지식

굿 거버넌스

스포츠 조직의 자치성을 위한 필요조건

coin2  

" 굿 거버넌스(Good Governance)자치성(Autonomy)동전의 양면과 같습니다.

스포츠 조직이 자치성을 지키기 위해서는 스스로 굿 거버넌스실천해야 합니다." 

- Thomas Bach IOC 위원장 

    굿 거버넌스의 실패

2015년 11월, 국제육상경기연맹 (IAA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thletics Federations)    • 러시아 육상 선수들의 조직적 도핑 사실 발각   • 러시아육상연맹, IAAF에 의해 자격 정지, 2016리우올림픽 출전 불투명   • 프랑스 경찰, IAAF 전 회장 Lamine Diack 뇌물 수수 혐의로 체포

 

2015년 5월, 국제축구연맹(FIFA: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Football Federation)   • 2018러시아월드컵 및 2022카타르월드컵 개최지 선정 과정에서 뇌물 수수 등 비리 포착   • FBI, FIFA 주요 간부 소환 및 비리 혐의 수사   • FIFA 윤리위원회, Sepp Blatter FIFA 회장 등에게 자격 정지 부과

 

2015년, 대한민국 스포츠   • 검찰, 각 종목 승부조작, 불법도박, 심판 매수 등 관련자 소환 및 수사   • '비리로 몸살 앓은 스포츠', 2015 대한민국 스포츠 기자가 뽑은 톱 뉴스로 선정(연합뉴스 12.16. 보도)

  2015년 한해, 일부 스포츠 조직의 부정과 부패가 논란이 되었다. 이들의 '굿 거버넌스 실패'는 정부 및 수사 당국의 개입을 초래하였고, 스포츠 조직은 자치성 상실의 위기를 맞이하였다.  대한체육회국민생활체육회통합이라는 변화를 앞둔 대한민국의 스포츠 조직도 자치성을 확보하고 번영을 이루기 위해서는 굿 거버넌스의 원칙에 입각한 전략 수립과 조직 운영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굿 거버넌스의 개념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스포츠 조직 스스로 굿 거버넌스의 실태를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굿 거버넌스 실천 지원 도구(Good Governance Toolkit) 유럽 국가 NOC들의 연합체인 EOC(European Olympic Committees)는 지난 2012년, S4GG(Sport 4 Good Governance)라는 이름의 프로젝트 그룹을 발족했다. 독일, 덴마크, 네덜란드 등 유럽의 스포츠 선진국 연구기관 등이 참여한 S4GG 프로젝트는, 스포츠 조직들이 굿 거버넌스 실천 여부를 스스로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전략을 구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굿 거버넌스 실천 지원 도구(Good Governance Toolkit)를 개발하였다. S4GG Project Cover

 <그림 1> S4GG의 Good Governance Tool-Kit

  ISC 국제스포츠지식 2015-6호는  S4GG 개발한 굿 거버넌스 실천 지원 도구(Good Governance Toolkit)를 활용하여,    1. 굿 거버넌스의 개념과 중요성   2. 굿 거버넌스의 평가 방법(Good Governance Self Evaluation Tool) 을 살펴보고 경기단체 등 국내 스포츠 조직들이 이를 직접 적용하고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 굿 거버넌스의 개념과 중요성
  굿 거버넌스의 용례 굿 거버넌스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굿 거버넌스'의 용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S4GG는 굿 거버넌스라는 용어가 경영학과 정치학, 행정학 등 주로 사회과학의 영역에서 사용되었다고 설명한다. 경영학에서 굿 거버넌스올바른 기업 지배구조(Corporate Governance)의 의미를 가진다. 
logo 기업 지배구조(Corporate Governance)
   기업 경영의 통제에 관한 시스템으로 기업 경영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주주·경영진·근로자 등의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규율하는 제도적 장치
   즉, 기업의 소유구조뿐 아니라 주주의 권리·주주의 동등 대우·기업지배구조에서 이해관계자의 역할·공시 및 투명성·이사회의 책임 등을 포괄하고 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기업지배구조 [corporate governance, 企業支配構造] (두산백과)
  정치학 행정학에서의 굿 거버넌스는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초, 개발정책(development policy) 분야에서 통용되었다. 국제기구, 선진국 등이 개발도상국에 원조를 제공할 때, 원조를 받는 개발도상국이 준수해야 할 원칙과 조건으로 굿 거버넌스가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의 개발원조위원회(DAC: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는 개발도상국 정부가 주요 정책 결정 과정에서 참여, 민주화, 인권 보호 등을 보장할 것을 주문하였다. 세계은행(World Bank)은 굿 거버넌스의 원칙을 준수하지 않아 경제 개발에 실패한 국가를 불량 거버넌스의 사례(bad governance practices)로 지정하기도 하였다.      굿 거버넌스의 핵심 요소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굿 거버넌스라는 용어는 분야와 학문에 따라 유연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정의 가운데서도 공통적으로 조직이 준수해야 할 굿 거버넌스의 핵심 요소로 투명성, 책임성, 구성원들의 참여와 개입, 진실성과 윤리적 행동 등을 꼽을 수 있다. Core Elements

 <표 1> 굿 거버넌스의 핵심 요소(Core Elements of Good Governance)

    스포츠 조직의 굿 거버넌스, 왜 중요할까? 스포츠 조직 또한, 굿 거버넌스의 원칙을 준수하고 실천함으로써 다양한 이득을 얻고 자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첫째, 스포츠 조직은 굿 거버넌스를 통해 스포츠 팬들의 신뢰와 지지를 얻을 수 있다. 스포츠 조직의 가장 중요한 고객인 팬들은 단순히 스포츠 대회(Sport Event), 팀, 선수뿐만 아니라 이들을 관리하는 조직(Governing Bodies)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때, 스포츠 조직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굿 거버넌스의 실천이 제시되었다. 둘째, 경제적 후원의 당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굿 거버넌스가 중요하다. 정부, 기업, 개인 등 다양한 후원자들은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스포츠 조직을 지원하여 스포츠 발전에 기여하는 한편, 후원자들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제고하였다. 또한, 스포츠 조직은 경제적 후원을 바탕으로 자치성을 강화할 수 있다.
logo 굿 거버넌스의 실패와 후원 중단
   스포츠 조직이 굿 거버넌스를 달성하지 못했을 때, 후원사들이 후원을 중단하는 사례 또한 발생하였다.
2014년 11월, FIFA의 공식 후원사였던 Emirates Airlines와 Sony는 FIFA가 월드컵 유치 과정에서 각종 비리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된 후, FIFA와의 후원 계약 종료를 선언하였다. 굿 거버넌스의 원칙을 준수하지 않는 스포츠 조직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태도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셋째, 조직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들간의 신뢰구축함에 있어서도 굿 거버넌스가 강조된다. 굿 거버넌스의 원칙 아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합법적으로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상호간의 신뢰를 구축 할 수 있다. 넷째, 굿 거버넌스는 적절한 견제와 균형(Check and balance)을 보장한다. 견제와 균형은 효과적으로 스포츠 조직의 위험을 관리(Risk management)하고, 권력의 집중과 남용을 방지하며, 궁극적으로는, 조직의 장기적인 발전을 도모하는데 기여한다.  굿 거버넌스는 이와 같이 구조적이고 전략적인 차원에서 스포츠 조직의 자치성 확보번영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IOC와 굿 거버넌스 IOC 또한 지난 2009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Olympic Congress에서 “올림픽과 스포츠 무브먼트의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굿 거버넌스 원칙(Basic Universal Principles of Good Governance of Olympic and Sports Movement)을 발표한 바 있다. IOC는 이를 통해 IF, NOC, NF 등 전 세계 스포츠 조직들이 이 원칙에 따라 각자의 역할과 책임을 충실히 이행할 것을 주문하였다. 

“All members of the Olympic Movement should adopt, as their minimum standard, the Basic Universal Principles of Good Governance of the Olympic Movement, as proposed by the IOC.”

 
  logo Basic Universal Principles of Good Governance of Olympic and Sports Movement
       'Basic Universal Principles of Good Governance of Olympic and Sports Movement'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국제스포츠지식 2013-6호 스포츠조직과 착한 거버넌스” 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국제스포츠지식 2013-6호 바로가기(Click)
       
2. 굿 거버넌스의 평가 방법(Good Governance Self Evaluation)
이처럼, 굿 거버넌스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스포츠 조직 스스로 굿 거버넌스 실천 여부를 평가하고 개선책을 모색할 수 있는 방법이 S4GG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 글을 읽는 독자 여러분 또한, 아래의 평가 방법을 숙지하여, 소속된 조직의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굿 거버넌스의 원칙에 부합하는 조직의 미래 방향을 수립하기를 권장한다.    굿 거버넌스 자체 평가 과정 및 방법 평가에 앞서, 먼저 평가 전반을 주도할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를 선정해야 한다. 퍼실리테이터는 조직 내부에서 선임하거나 전문 컨설턴트에게 그 역할을 위임할 수 있다.
  logo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
       개인이나 집단의 문제해결능력을 키워주고 조절함으로써 조직체의 문제와 비전에 대한 해결책을 개인이나 집단으로 하여금 개발하도록 자극하고 돕거나, 교육훈련프로그램의 실행과정에서 중재 및 조정역할을 담당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퍼실리테이터는 팀 구성원들에게 질문을 던지고, 팀 구성원들의 생각에 맞서며, 한편으로는 독려한다. 팀이 그들 자신의 행동에 대해 더 잘 알도록 해 주는 것이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이다. 퍼실리테이터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학습을 가속화시키는 것으로 팀이 취하는 다양한 행동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성찰을 고무하며 학습자들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에 대해 성찰하고 학습을 촉진하는데 도움을 준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퍼실리테이터 [促進者, Facilitator] 
(HRD 용어사전, 2010. 9. 6., (주)중앙경제)
    선정된 퍼실리테이터는 평가에 참여하는 조직구성원(이하, 평가자)들에게 다음에 제시된 평가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process of the evaluation

<표 2> S4GG의 굿 거버넌스 자체 평가 및 개선책 모색 과정

  설명이 끝났으면, 본격적으로 상기에 제시된 과정을 시행한다.   이때, 1, 2단계는 개인별로 진행하고. 이어 3, 4단계는 평가자 모두가 함께 모여 실시해야 한다.       first stage 1단계에서 참가자는 개인별로 총 5개 분야와 14개 세부 항목에 대한 조직 굿 거버넌스 실천 정도를 평가한다. 표3

<표 3> 굿 거버넌스 자체 평가 항목

  퍼실리테이터는 평가자들에게 14개 세부 평가 항목별로 각 항목이 완전히 실현되었을 경우를 가정하는 '이상적 상태 시나리오'와 '평가표'를 배부한다. 평가자는 각 항목별로 제시된 '이상적 상태'에 대한 설명을 정독하고, 소속된 조직의 상황과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판단한다. 이어, 아래의 기준을 바탕으로 각 항목별 평가점수를 부과한다.  criteria

<표 4> 항목별 평가 기준 및 배점

      •평가항목 1-1. 비전과 미션(Vision and mission)
  • 이상적 상태
    • 조직이 구성원과 공유하고자 하는 분명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 핵심 목표와 가치는 조직의 비전 및 미션에 명시되어 있으며 구성원들에게 명확하게 전달되고 있다.
  • 평가 점수

그림4

    •평가항목 1-2. 전략 지향성(Strategic orientation)
  • 이상적 상태
    • 조직이 수행하고자 하는 각종 전략은 조직의 비전과 합치한다.
    • 전략은 상황에 맞게 적용된다.
    • 조직의 전략이 수뇌부에 의해 정교하게 수립되며, 총회의 의결을 통해 승인된다.
  • 평가 점수

그림4

    •평가 항목 1-3. 위험관리(Risk management)
  • 이상적 상태
    • 조직이 처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예: 세금 또는 계약 문제, 성추행, 승부조작, 도핑 등)을 체계적으로 기록, 평가 및 관리한다.
  • 평가 점수

그림4

    •평가 항목 2-1. 조직구조(Structure of the federation)
  • 이상적 상태
    • 의사결정기구(governing bodies)는 민주적 원칙을 기반으로 구성된다.
    • 합리적인 의견수렴(opinion building)이 이루어진다.
    • 주요 의사결정이 적절한 시기에 이루어진다.
  • 평가 점수

그림4

    •평가 항목 2-2. 명확한 규정(Clear regulations)
  • 이상적 상태
    • 명백하고 일관성 있는 규정을 보유하고 있으며, 조직 구성원 전체가 규정을 명확히 이해하고 있다.
    • 특정 상황을 규정에 따라 예측할 수 있다.
    • 조직의 모든 규정과 규칙(정관 등)이 조직 안팎의 이해관계자들에게 투명하게 공개된다.
    •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며, 가장 최신의 규정이 홈페이지 등에 게시되어있다.
  • 평가 점수

그림4

    •평가항목 3-1. 경영진 구성(Composition of the board and management)
  • 이상적 상태
    • 이사진 혹은 집행부의 선거 및 임명이 명확한 기준에 의해 실시된다.
    • 각 직책별로 역할과 기능에 대한 자격요건이 명시되어, 투명하고 공개적인 채용 절차가 진행된다.
    • 이사회 또는 경영진의 구성원은 조직에 헌신하며, 조직이 필요로 하는 전문성과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 평가 점수 
        그림4     •평가 항목 3-2. 윤리 기준(Ethical standards and regulations)
  • 이상적 상태
    • 윤리 규정(Code of Ethics)을 제정하여 조직 운영에 상시 적용하고, 이해관계자 간의 충돌을 조정한다.
    • 윤리 규정은 조직 내부의 모든 부서와 영역에 동일하게 적용되며, 모든 조직 구성원은 이를 준수한다.
  • 평가점수

그림4

    •평가 항목 3-3. 이해관계의 충돌(Conflicts of interest)
  • 이상적 상태
    • 조직은 이해관계 충돌에 대한 일관성 있는 지침을 제공한다.
    • 또한, 당사자들은 해당 지침을 준수한다.
  • 평가 점수

그림4

    •평가 항목 3-4. 훈련과 인식제고(Training and awareness raising)
  • 이상적 상태
    • 요직에 배치되어 있는 인력들은 정기적으로 굿 거버넌스에 대한 훈련과 교육을 받는다.
    • 조직은 새로 임명된 리더와 신입 직원들을 위해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 평가 점수

그림4

    •평가 항목 4-1. 업무 분장 및 부서 간 협력(Delineation of competencies and cooperation between different bodies)
  • 이상적 상태
    • 하위 조직, 인력별로 업무와 기능을 명확하게 할당한다.
    • 총회, 이사진, 집행부, 경영진, 감사 등은 각자의 역할을 인식하고, 조직의 이익을 위해 협업한다.
  • 평가 점수

그림4

    •평가 항목 4-2. 재무관리와 통제(Economic management and controlling)
  • 이상적 상태
    • 재무건전성에 기반한 예산 편성 및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
    •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재무관리 구조와 절차가 수립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직 전체의 재무가 통합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 평가 점수

그림4

    •평가 항목 4-3. 재무보고와 통제(Reporting and controlling)
  • 이상적 상태
    • 재무보고서를 통해 정확한 정보가 제공된다. 각 이해관계자들은 이를 통해 조직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 수입과 지출, 비용 등이 조직 구성원들에게 공개되어 투명성을 보장한다. 
  • 평가 점수

그림4

    •평가 항목 5-1. 열린 의사소통(Open communication)
  • 이상적 상태
    • 소통 친화적인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다.
    • 조직은 각 이해관계자가 자신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조직의 목표와 현 상황에 대해 상시적으로 소통한다.
  • 평가 점수

그림4

    •평가 항목 5-2. 참여권과 발언권(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and say)
  • 이상적 상태 
    • 남녀노소, 지위에 상관없이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조직문화가 조성되어 있다. 특히 조직의 특정 정책을 개방적으로 비판할 수 있다.
    • 조직의 다양한 이해관계자(예: 고문, 선수 측 대변인 등)들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 평가 점수

그림4

  개별 항목에 대한 평가가 종료되면, 아래의 자가진단 거미줄(Spider web for self assessment)을 활용하여 각 항목별 점수를 시각화한다. 방법은 간단하다. 아래 자가진단 거미줄 위에, 각 항목별로 평가자가 부과한 점수에 점을 찍고, 각 점을 연결하면 개인이 평가한 조직의 굿 거버넌스 원칙 실천 여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조직별로, 잘 시행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도 확인할 수 있다.  그림1

<그림 2> 자가진단 거미줄(Spider web for self assessment)

      second stage 개인별 평가 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두 가지 질문을 스스로에게 제시한다. 이어, 조직의 발전 방향에 대한 스스로의 생각을 정리한다.
  • 소속된 조직의 굿 거버넌스 수준은 어떠하며,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인가?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직 차원에서 즉시 취할 수 있는 조치는 무엇인가?
  3rd stage 개인의 평가와 분석이 완료되면, 그 결과를 조직 구성원들과 공유한다.  동료와 의견을 교환할 때, 아래 세 가지 질문을 함께 제시한다. 
  • 동료와 나의 평가 결과 중 유사한 점은 무엇인가?
  • 동료와 나의 평가 결과 중 다른 점은 무엇인가?
  • 조직의 향후 운영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은 무엇인가?
    4th stage 의견 공유가 마무리되면, 조직구성원들의 합의 아래 조직이 어떠한 변화를, 어떻게 실현해 나아갈지에 대한 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한다. 먼저, 퍼실리테이터는 구성원들이 공감하는 문제 또는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선정 및 나열하고, 그에 맞는 해결책을 표를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각 표에는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기술한다. 실행계획표에 기입해야 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목표(Goal): 변화를 통해 달성해야 하는 목표가 무엇인지 명확히 기입한다.
  • 담당자(Who): 해당 변화 과정을 주도할 책임자를 정한다.
  • 조력자 및 필요자원(Supporters and resources): 담당자를 도울 조력자 즉, 인적 자원을 포함하여 변화 과정에 도움이 되는 모든 자원을 기입한다.
  • 데드라인 및 중간목표(Deadline and interim Goal): 최종 목표의 달성 시점인, 최종기한을 정한다. 최종목표 달성 이전의 중간목표에 대해서도 명시한다. 중간목표의 기한 역시 설정한다.
  • 진행 상황(Progress): 진행 상황을 수시로 기록하여, 변화의 과정을 확인하고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표5

< 표 5 > 실행계획표 예시

  이어, 퍼실리테이터는 작성한 실행 계획이 조직 구성원들과 항시 공유될 수 있도록 조치한다. 또한, 전체적인 조직 운영 전반에 실행 계획이 반영되는지를 지속적으로 점검한다.        
변화할 것인가? 통제될 것인가?
  스포츠 조직변화규제갈림길에 놓여있다. 바람직한 길은 스포츠 조직 스스로 굿 거버넌스를 올바르게 숙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직의 혁신과 변화를 이끌어 내는 길이다. 반대로 변화를 거부하고 굿 거버넌스를 실천하지 못하는 길도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조직이 경쟁력을 잃고 규제와 개입의 대상이 되는 길이다,   change or be regulated

<그림 3> 변화할 것인가? 통제될 것인가?

    ISC국제스포츠전문기관으로서 그동안 굿 거버넌스의 중요성과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대한민국 스포츠계에 전파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2014-conference-10

<그림 4> ISC Conference 2014: Good Governance

    이러한 노력에 더하여, 보다 실질적이고 직접적으로 국제경기연맹, 경기단체 등 국내·외 스포츠 기관의 굿 거버넌스 현황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미래전략을 구상하는 솔루션 또한 제공하고 있다.     오늘의 스포츠강국 대한민국은 전문 스포츠생활 스포츠통합이라는 거대한 변화를 앞두고 있다. 내일의 스포츠선진국 대한민국에게 있어서는, 굿 거버넌스가 더 이상 사치스러운 구호가 아닌, 일상의 버릇이 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Good Governance Tool-Kit (2013), S4GG(Sport 4 Good Governance) Basic Universal Principles of Good Governance of the Olympic and Sports Movement (2005),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ISC의 모든 콘텐츠는 독자여러분들과 함께 만들어 나갑니다. 의견이나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admin@i-sr.org로 연락 바랍니다.
   

ISF에서 매주 발행하는
국제스포츠 지식·정보를 만나보세요!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