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h의 독일, 2024올림픽 유치 포기 > 최신뉴스

본문 바로가기
최신뉴스
최신 국제 스포츠 뉴스 소식을 전해 드립니다.
국제스포츠 NEWS
최신뉴스
TOP
Bach의 독일, 2024올림픽 유치 포기
2015-12-02 16:00:46
2024하계올림픽의 개최 후보 도시 중 하나였던 독일의 함부르크가, 주민투표 결과, 올림픽 유치를 포기하기로 결정함.  독일은 현 IOC 위원장 Thomas Bach의 국가로, 일각에서는 함부르크의 유치 포기로 인해 올림픽 브랜드가 위기를 맞이했음이 드러났다고 진단함.        
함부르크, 주민투표 결과 따라 2024올림픽 유치 포기
독일 함부르크 주정부가 2015년 11월 29일 올림픽 유치 참여 여부를 놓고 실시한 주민투표에서, 투표자의 과반이 반대함. 이에 따라, 함부르크2024올림픽 유치를 공식적으로 포기함.  이번 투표에는 함부르크의 유권자 130만 명 중 65만여 명이 참여했으며, 올림픽 유치 반대표는 51.6%, 찬성표는 48.4%로 집계됨.  독일은 지난 2013년, 뮌헨이 2022동계올림픽 유치를 포기한 것에 이어 두 차례 올림픽 유치를 포기하게 됨.  독일이 마지막으로 개최한 올림픽은 1972뮌헨올림픽.   함부르크가 물러나며, 2024올림픽 유치 경쟁에 남아 있는 도시는 미국의 로스앤젤레스,  프랑스 파리, 이탈리아 로마, 헝가리 부다페스트 총 4개임.   IOC는 2017년 9월 개최도시를 최종 선정할 예정임.        
함부르크, 왜 반대했을까? 
한편, 2024함부르크유치위원회CEONikolas Hill은, 지난 달 발생한 프랑스 파리 테러로 인해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며, 이와 같은 상황이 주민투표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함.    또한 국제스포츠기구의 잇따른 비리 사건들 등도 함부르크 주민들이 올림픽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한 이유였다고 언급함.  특히, 독일축구협회(DFB: German Football Association)가 2006독일월드컵의 유치를 위해 7백 60만 USD 상당의 비자금(slush fund)을 조성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며, 이 또한 투표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임.  이와 더불어, 최근 불거진 러시아의 도핑 논란으로 스포츠 자체의 신뢰성(credibility)이 실추된 것 또한 한 몫을 차지한 것으로 보임.   독일 내 난민 수용 문제 또한 이번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됨.  현재 독일에는 2015년 연말까지 약 백만 명의 난민이 이주해 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에 따라 공공 재원이 스포츠 이벤트 유치가 아닌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데 쓰여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함.        
독일 출신 Bach의 입장
Thomas Bach IOC 위원장은, 함부르크의 올림픽 유치 포기에 대해 함부르크와 독일, 그리고 독일의 스포츠가 큰 기회를 놓친 것이라며 유감을 표함. 또한, Hill과 유사하게, 유치 포기의 이유로 예산 문제, 2006독일월드컵 유치를 둘러싼 비리, 스포츠계의 도핑 스캔들, 난민 문제 등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함.    BachIOCOlympic Agenda 2020을 통해 투명성(Transparency)과 굿 거버넌스(Good Governance)를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포츠계에 부패 및 도핑 문제가 만연한 것을 두고 실망감을 드러냄.   한편, IOC는 지난 2015년 9월 16일 2024올림픽 개최 도시의 조직위원회에 17억 USD 규모의 현금 및 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을 발표했으나, 대형 스포츠 이벤트(Mega Sports Events)에 투입되는 대규모 예산에 여전히 부정적인 시선이 지속되고 있음.   그 예로, 함부르크에 앞서 캐나다 토론토와 미국 보스턴이 재정 등의 문제로 2024올림픽 유치를 포기함. 더불어, 2022동계올림픽 유치전에서는, 유력 후보였던 노르웨이의 오슬로가 재정상의 문제로 유치를 포기하며 중국의 베이징과 카자흐스탄 알마티 두 나라만이 경쟁에 참여한 바 있음.         
Olympic Agenda 2020 개혁안, 역부족? 
IOC는 최근 몇년 잇따른 개최 후보 도시들의 유치 포기로 몸살을 앓고 있음. 특히, 이번 함부르크의 유치 포기를 두고 일각에서는 IOCIOC올림픽 브랜드가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하기도 함. IOCOlympic Agenda 2020을 통해 올림픽 개최에 따른 재정적 부담을 줄이고, 전세계 도시들에게 더욱 효과적으로 올림픽 브랜드를 홍보하는 것을 주요 개혁 중 하나로 추진해왔음에도 불구하고,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는 의견 또한 제기됨.    Thomas Bach IOC 위원장은 지난 2014년 12월 Olympic Agenda 2020의 통과 이후 도입된 초청단계(Invitation Phase)를 통해, 이른바 세일즈 외교(Sales Diplomacy)를 펼치고 있음. 이는 기존의 IOC 수장들과는 사뭇 다른 행보로, Bach는 지속적으로 각 국 정상을 방문하는 등 공격적인 영업을 실시해 옴. 하지만, Bach의 모국인 독일의 함부르크를 포함한 잇따른 후보 도시들의 올림픽 유치 포기가 목격되며, 국가 정상들과의 만남이 올림픽 브랜드를 홍보하는 것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음.  특히, IOC가 성공적으로 올림픽 개최도시를 찾기 위해서는, 올림픽을 유치할 도시그 의사결정자, 즉, 도시의 시장 및 고위공무원 그리고 시민들과의 소통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임.         같이보기 독일 통합체육회, Good Governance 천명  2024올림픽, 경쟁 도시 확정 2024년 하계올림픽 유치 경쟁 현황 2024하계올림픽은 어디로?  보스턴, 2024올림픽 유치 포기 스포츠의 미래를 예측하다: Olympic Agenda 2020

ISF에서 매주 발행하는
국제스포츠 지식·정보를 만나보세요!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