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C와 OECD는 지난 9월 글로벌 이벤트의 장기적 영향 측정 가이드라인의 발간 이후 3년간의 공동 개발 끝에, 주요 스포츠이벤트 조직위원회의 성공적인 이벤트 개최에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지침 사항을 제공하는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발표함.
새로운 가이드라인은 올림픽 개최 위험요인, 제도적 장치 및 조직 관리, 지속가능성과 유산, 이해관계자 및 시민 참여, 프로그램 관리 등 대회의 조직위원회가 직면한 특정 문제들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전 대회 조직위원회의 모범사례와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 조달에서 얻은 교훈도 포함되어 있음.
가이드라인에 포함된 5개의 요소 및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음.
또한, 가이드라인의 초안을 작성하는 과정에는 이전 대회의 조직위원회뿐만 아니라 2024 파리 올림픽대회, 2026 밀라노-코르티나 동계올림픽대회, 2028 LA 올림픽대회 및 2026 다카르 하계청소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가 경험과 모범사례를 공유하며 중요한 의견을 제공함.
더불어, 가이드라인은 주요 스포츠이벤트의 효과적인 개최에 도움이 될 실용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온라인 툴킷과 함께 제공될 예정이며, 여기에는 이벤트 주최자가 대회 운영 환경을 강화할 수 있는 요소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체크리스트가 포함되어 있음.
한편, IOC와 OECD는 지난 2019년에 스포츠의 평화와 지속가능성, 윤리, 청렴성, 거버넌스 증진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으며, 스포츠부패방지국제파트너십(IPACS, International Partnership Against Corruption in Sport)을 통해 긴밀히 협력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