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2022 특집> 베이징 2022, 지속가능성에 대한 모든 것 > 최신뉴스

본문 바로가기
최신뉴스
최신 국제 스포츠 뉴스 소식을 전해 드립니다.
국제스포츠 NEWS
최신뉴스
TOP
<베이징 2022 특집> 베이징 2022, 지속가능성에 대한 모든 것
2022-02-08 14:24:00
사상 첫 동·하계올림픽대회 개최를 이뤄낸 중국 베이징은 동계올림픽대회 개최를 통해 시민들의 동계스포츠 참여 활성화부터 빈곤 퇴치, 경제적 기회 증진, 지속 가능한 방안 홍보까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대회(이하 베이징 2022)를 통해 다양한 지속가능성을 위한 활동 내용을 소개함.
베이징 2022, 지속가능성에 대한 모든 것

<탄소 중립 올림픽대회> The carbon-neutral Games

베이징 2022는 탄소 중립의 올림픽대회 개최를 위해 베이징 2008 당시 사용되었던 경기장 5곳을 재활용하여 신규 경기장 건설을 최소화하고 특히, 재생에너지를 사용하여 경기장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함. 이뿐만 아니라 저탄소 기술 및 저탄소 운송 수단을 활용하고 임업 기반의 탄소 격리 프로젝트를 진행함.

 

<탄소 방지 및 감소> Carbon avoidance and reduction

- 베이징 2022는 기존 경기장을 최대한 활용하고 지속가능성을 우선시하면서 신규 경기장 건립 및 운영하고 있음.

- 베이징 2022의 모든 경기장은 올림픽 사상 처음으로 주요 에너지원을 태양열과 풍력을 활용하는 재생에너지를 전력으로 공급받음.

- 장베이 유연직류전력망사업을 통해 베이징과 옌칭에 위치한 경기장의 전력 수요를 직접 충당하며, 이외에도 베이징시의 약 10%에 해당하는 전력을 공급하고 도시의 청정에너지 사용을 촉진함.

- 베이징 2022 빙상 경기장 4곳에 천연 CO2 냉동 시스템이 사용될 예정이며, 이 기술은 중국과 동계올림픽에서 처음 사용될 전망임. 냉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거의 0으로 줄여 에너지 소비를 줄여주는 효과를 가짐.

- 베이징 2022는 약 12,000대의 데스크톱, 서버, 노트북, 복합기, 자동차 및 사무 가구를 구매하지 않고 임대함.

 

<탄소 배출 상쇄> Carbon Compensation

탄소 배출은 산림 탄소 흡수원과 올림픽 공식 파트너의 탄소 배출권을 통해 상쇄될 예정임. 지난 2014년부터 베이징과 장자커우는 각각 47,333헥타르와 33,000헥타르의 숲을 심었고, 53만 톤과 57만 톤의 임업 기반의 탄소 상쇄가 이루어 짐.

 

<3억 인구의 동계스포츠 참여> Engaging 300 million people in winter sports 

베이징 20223억 인구의 동계스포츠 참여 활성화를 이끌고 중국의 동계스포츠 산업 발전을 가속하고 관광을 활성화함.

- 2022112일 중국 통계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5년 베이징이 2022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된 이후 중국 인구의 약 1/4346백만 명 이상의 중국 국민이 동계스포츠에 참여함.

- 지난 2020년부터 1년간 중국 전역에서 빙상 및 설상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수가 23천만 명에 달했고 얼음과 빙상 관련 관광의 수입은 3,900억 위안(한화 약 73조 원)을 넘김.

- 베이징 2022는 중국의 겨울 관광 성장 추이는 20172,700억 위안(한화 약 50조 원)에서 20193,860억 위안(한화 약 69조 원)으로 43% 증가한 수치를 나타냄.

- 베이징 2022 클러스터인 옌칭과 장자커우는 세계적으로 동계스포츠 대회와 훈련 장소의 메카로서 자리 잡을 전망임.

중국 내 동계스포츠 경기장은 전국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8609개였던 빙상 경기장이 2020년 말에는 1,200개 가까이 늘어났고 2021년 초 기준으로 중국에는 2015년에 비해 41% 증가한 803개의 스키 리조트를 보유하게 됨. 

- 중국 전역 총 2,897개의 초·중학교에선 2021년 말까지 동계스포츠, 올림픽 및 패럴림픽 교육을 교육 과정에 포함함.

 

<도시 재생, 지역 발전 가속화> Regenerating city areas, accelerating regional development

베이징 2022는 베이징, 옌칭구, 장자커우 등 3개의 클러스터를 지역주민들의 사회적,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는 기회로 활용함. 베이징에서는 과거 공업지역이었던 쇼우강(Shougang) 공원이 새롭게 단장돼 활기를 띠고 있으며, 옌칭에서는 새로운 산업을 개발하고 장자커우에서는 올림픽을 통해 빈곤 퇴치에 이바지함.

- 장자커우는 올림픽을 통해 동계스포츠 관련 산업을 발전했으며, 이를 통해 이미 중국에서 가장 큰 스키 리조트로서 자리매김함. 지난 2019년에는 86백만 명 이상의 관광객과 1,000억 위안(한화 약 18조 원) 이상의 수익을 올렸으며, 이는 전년 대비 20% 이상 증가한 수치임. 또한, 장자커우는 새로운 철도 선로 및 전반적인 도로와 교통 허브를 구축했으며 식수, 전력 및 통신 등의 시설들이 새롭게 지어지며 주변 환경이 발전함. 20216월 기준으로 장자커우 시의 12개 지역에서 총 93만여 명이 빈곤에서 벗어남.

- 옌칭에서는 지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1인당 가처분소득이 35.2% 증가함. 베이징 2022 개최지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만리장성과의 근접성에 힘입어 옌칭은 주요 관광지로서 관광객을 비롯한 방문객을 위해 다양한 야외 문화, 레저, 스포츠 활동이 마련돼 동·하계 스포츠를 체험할 기회를 제공할 예정임. 지난 2019년 옌칭은 전년 대비 6% 증가한 1,700만 명의 관광객을 맞이하여 10억 위안(한화 약 1880억 원) 이상의 수익을 창출함.

- 베이징 쇼우강 공원에 위치한 제철소는 현대적인 스포츠·비즈니스·레저시설로 탈바꿈했으며, 역사적 산업 건축의 개념에 따라, 공원은 새로운 기능적 공간을 만드는 동시에 기존 부지의 산업적 특징을 유지하고 있음. 예를 들어, 25,000면적의 석탄 작업장은 올림픽에 맞춰 쇼트트랙, 피겨 스케이팅, 컬링, 아이스하키 훈련장으로 바뀌었으며, 현재 쇼우강 공원에는 베이징 2022 조직위원회 사무실뿐만 아니라 과학 연구에 전념하는 일부 정부 기관 기업과 호텔, 식당, 상점과 사무실 등이 입점하여 사람들이 살고, 일하고, 노는 활기찬 커뮤니티를 구축함.

 

<양성평등> Gender equality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참가하는 여성 선수의 비율은 45%로 예상되며 동계올림픽 역사상 가장 양성 평등한 대회가 될 전망임.

- 스켈레톤, 루지 개인전, 스피드 스케이팅, 크로스컨트리 스키, 알파인 스키, 프리스타일 스키, 스노보드 등 종목에서 양성평등에 도달함.

- 베이징 2022도 봅슬레이 여자 1인승(Monobob)과 스키 빅에어 여자, 혼성 4개 종목이 추가돼 역대 여성 종목 중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하며 이는 올림픽 종목에서 여성 종목의 비율을 47%로 증가시킴.

 

<교통의 새로운 시대> A new era of transportation

베이징 2022는 베이징-장자커우 고속철도와 베이징-충리 고속도로를 완공하면서 베이징과 장자커우 간 이동시간을 기존 3시간에서 47분으로 크게 단축함.

- 약 180km 떨어진 중국 베이징, 장자커우, 옌칭은 이번에 완공된 고속철도를 최대한 활용할 예정임.

- 올림픽 파트너(TOP, The Olympic Partner) 도요타가 제공하는 차량을 포함해 전체 승용차의 100%, 전체 차량의 85%를 연비 효율이 좋은 차량으로 운영되며 베이징에서는 주로 전기 및 천연가스 차량을 사용함. 옌칭과 장자커우 지역에는 수소연료 차량이 배치되며 특히, 장자커우에는 6개의 차량용 수소충전소가, 옌칭에는 1개의 차량용 수소충전소가 설치됨.

- 베이징 대중교통은 지능형 버스 배차 시스템을 사용하여 (P+R) 주차장, 버스로 환승, 자전거 전용 도로 등을 늘려 교통 효율성과 편이를 효과적으로 높이고 더불어 탄소 배출량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함.

 

기사 출처
IOC
이미지 출처
ISF

ISF에서 매주 발행하는
국제스포츠 지식·정보를 만나보세요!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