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DA, 8개 도핑방지기구 세계도핑방지규약 불이행 판정 > 최신뉴스

본문 바로가기
최신뉴스
최신 국제 스포츠 뉴스 소식을 전해 드립니다.
국제스포츠 NEWS
최신뉴스
TOP
WADA, 8개 도핑방지기구 세계도핑방지규약 불이행 판정
2021-06-01 09:17:00
지난 914(현지시간) 터키 이스탄불에서 세계도핑방지기구(WADA, World Anti-Doping Agency)집행위원회 회의를 열었고 8개의 도핑방지기구(ADO, Anti-Doping Organization)가 세계도핑방지규약(WADC, World Anti-Doping Code)을 준수하지 않는다고 판정을 내림.


지난 9월 14일(현지시간) 터키 이스탄불에서 WADA 집행위원회 회의가 진행되었고 국제농아인농구연맹(DIBF, Deaf International Basketball Federation), 국제기랴스포츠연맹(IGSF, International Gira Sports Federation), 벨기에 독일 공동체 국가도핑방지기구(NADO, National Anti-Doping Organization), 몬테네그로 NADO, 루마니아 NADO, 태국 NADO, 북한 NADO, 인도네시아 NADO 등 총 8곳의 ADO가 2021 WADC을 준수하지 않는다는 판정을 받음.


또한, 해당 회의에서는 매년 갱신되는 금지약물 및 방법 목록의 2022년도 버전을 승인함. 2022 금지약물 및 방법 목록은 2021년 10월 1일 이전에 발간돼 2022년 1월 1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며 WADA는 “제한적인 수정이 있을 것”이라고 언급함. 


특히, 2022년 1월 1일부터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투여가 금지될 예정임. 동시에, 현재 WADA의 금지 목록에 포함된 대마초가 해당 회의에서 논의의 대상이 됨. 


미국 단거리 육상선수 Sha'Carri Richardson 사건 이후 대마초는 새로운 조사 대상으로 부상하였고 WADA는 이번 회의에서 대마초가 금지된 물질이라는 과학적 검토를 승인함. Sha'Carri Richardson는 미국 올림픽 육상 국가대표 선발전 여자 100m 부문에서 우승했지만, 대마초 양성반응을 보여 결국 미국도핑방지기구(USADA, United States Anti-Doping Agency)에 의해 1개월 출전정지 및 실격 처리를 당해 2020 도쿄 올림픽대회 출전이 좌절된 바 있음. 


이와 더불어 WADA는 총 24건의 프로젝트를 선정해 과학연구 보조금 지급을 승인했으며 추가로 WADA 지배구조개혁, 상하이도핑방지연구소 실험실 지위 부여, 도핑방지행정관리시스템(ADAMS, Anti-Doping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System)내 선수생체수첩(ABP, Athlete Biological Passport) 실시간 접속 불허 등과 같은 안건을 논의함.


한편, 다음 WADA ExCo 회의는 오는 11월 24일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될 예정임.

    


출처 - insidethegames - WADA - KADA

ISF에서 매주 발행하는
국제스포츠 지식·정보를 만나보세요!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