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과 태권도 종목은 다른 20개 종목과 함께 2020 도쿄 패럴림픽대회를 빛낼 새로운 종목으로 전 세계 패럼림픽 팬들의 기대와 관심을 한몸에 받고 있음.
장애인배드민턴 종목의 역사는 다른 종목에 비해 짧은 편으로 지난 1998년 네덜란드 에머스포트에서 첫 세계선수권대회가열렸으며 2001년부터 2년 주기로 개최됨.
지난 2014년 세계배드민턴연맹(BWF, Badminton World Federation)의 노력 끝에 국제패럴림픽위원회는(IPC,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는 2020 도쿄 패럴림픽대회의 정식 종목으로 배드민턴을 채택했으며 2015년 35개국 230명의 선수가 참여했던 장애인배드민턴 세계선수권대회에 2020년 50개국 300명 이상의 선수들이 참가하는 등 장애인배드민턴 종목은 점차 국제무대에서의 입지를 확장해나가고 있음.
패럴림픽 배드민턴 종목과 올림픽 배드민턴 종목의 규정과 배점은 유사하며 경기는 총 3세트로 구성되어 2세트를 먼저 따내는 쪽이 승리하고 각 세트당 21점을 먼저 득점하는 선수가 해당 세트를 승리하는 방식으로 경기가 진행됨.
네트 높이 역시 올림픽 배드민턴과 다르지 않으며 종목은 남녀 단식, 복식, 혼합 복식 등이 있음.
올림픽 배드민턴 종목과 비교해 특징적인 차이는 패럴림픽 배드민턴 종목에는 장애등급별 분류가 존재하는 점인데 장애등급은 WH1, WH2, SL3, SL4, SU5, SH6(SS) 6가지로 구성됨.
<패럴림픽 배드민턴 종목 장애등급>
경기 진행 시 선수의 장애등급에 따라 경기장 규정이 결정되는데 휠체어를 타는 WH1, WH2 등급 선수와 스탠딩 등급 선수는 하프 코트를 이용하며 하프 코트 경기를 포함하여 휠체어 복식과 혼합 복식 경기에서 서비스 라인 앞 구역은 경기 영역에서 제외됨.
또한 장애인배드민턴 선수는 재빠른 움직임을 위해 휠체어를 낮은 등받이로 교체하거나 뒤쪽에 바퀴를 추가하는 등 장애 유형에 맞게 휠체어 변형이 가능함.
2020 도쿄 패럴림픽대회 배드민턴 종목에는 국가패럴림픽위원회(NPC, National Paralympic Committee)의 선발을 거친 90명의 선수들(남자 44명, 여자 46명)이 8개로 나눠진 세부종목경기에 출전하며 14개의 메달 수여가 예정되어있음.
<패럴림픽 배드민턴 세부종목>
<배드민턴 용어 설명>
출처 - IP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