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DA 집행위원회, 클린스포츠를 위한 회의 내용
2020-05-21
09:27:46
세계도핑방지기구(WADA, World Anti-Doping Agency)는 5월 15일 제2차 집행위원회(ExCo, Executive Committee) 회의를 실시하였으며 COVID-19로 인해 화상으로 진행됨.
5월 15일(현지시간) 화상으로 진행된 제2차 WADA 집행위원회 회의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주요 사업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이에 대한 결정 및 권고사항은 차주 이사회 투표에 올려 최종 승인을 받게 됨.
WADA의 최종 의사 결정 기구인 이사회는 38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2명의 집행위원회 위원이 실질적 운영 및 경영을 담당함. 이사회와 집행위원회 위원은 스포츠 대표와 정부 대표로 동일한 인원수로 구성되어있음.
WADA 회장이자 집행위원회 위원장인 전 엘리트선수 Witold Bańka는 “오늘날 WADA 집행위원회는 COVID-19로 인해 혼란스러운 상황이 벌어지는 와중에도 클린스포츠를 실현하기 위해 계속해서 논의를 이어나가고 있으며 발전적인 진전을 이루었다는 것에 대해 매우 기쁘다. 이사회에 제출된 집행위원회 권고사항이 WADA 사무국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주요 사업과 이슈에 대해 더욱 진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라고 밝힘.
COVID-19
WADA 집행위원회는 COVID-19가 글로벌 도핑방지 프로그램에 미치는 영향과 전례 없는 현 상황에서 WADA가 도핑방지기구(ADOs, Anti-Doping Organizations)와 선수들에게 제공한 지원 사항에 대해 보고를 받음. 특히 COVID-19로 인해 중단되었던 경기가 재기됨에 따라 도핑검사 재운영에 대해 다룬 ADO 지침에 대해 논의함.
상황이 점차 개선됨에 따라 WADA는 ADOs가 도핑방지 프로그램을 잘 시행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시행하는 등 꾸준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음. 또한, WADA는 COVID-19 동안 Strategic Testing Working Group을 구성하여 ADOs로부터 테스트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을 수집하고 검토하여 집행위원회에 보고함. 또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위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을 고민하고 있음.
RUSADA 관련 도핑 스캔들
현재 러시아도핑방지기구(RUSADA, Russian Anti-Doping Agency)와 진행 중인 소송과 관련해 WADA는 스포츠중재재판소(CAS,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에 정식으로 중재 신청을 하였고, 이에 대한 절차가 진행 중임. 2020 도쿄올림픽·패럴림픽이 연기됨에 따라 WADA는 올림픽 개막 전 소송 결과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 확신했으며, 지난 3월 발표한 바와 같이 CAS 규정에 따라 WADA는 관련 진행 중인 사건에 대해 언급할 수 없다고 밝힘.
WADA 정보조사국(I&I, Intelligence and Investigations) Gunter Younger 국장은 실험실정보관리시스템(Operation LIMS, Labora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명단을 업데이트하였으며 총 298명의 러시아 선수들을 표적 조사하여 28개의 ADOs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함. 반면 모스크바 실험실에서 수집한 샘플을 재검사한 결과 총 61개의 비정상분석결과(AAF, Adverse Analytical Finding)가 나타남.
WADA의 2020-2024 전략 계획
집행위원회는 사무국에 WADA 2020-2024 전략 계획에 대한 피드백을 전달하였으며 이를 이사회에 제출하여 승인을 받도록 권고함. 전략 계획은 향후 5년간 WADA의 전략적 활동에 기반이 될 것이며, 클린스포츠라는 목표를 위해 전 세계적인 협력을 이끌어 낼 것임.
Rodchenkov 법
집행위원회는 스위스 취리히 대학교 Ulrich Haas 민법학 교수로부터 Rodchenkov 도핑방지법에 대해 치외법권적 요소에 대한 우려가 있다는 전문적 평가를 듣고 법안 개정을 위해 미국 당국과 협력하는 데 전념하고 있음.
2021년 세계도핑방지규약(Code) 및 국제표준
집행위원회는 2021년 1월 1일자에 시행 예정인 2021 세계도핑방지규약과 2019년 11월 7일부터 시행된 국제표준에 관련된 사안들을 업데이트 함.
WADA는 작년 12월부터 2021 코드 지원 프로그램(CISP)을 시작했으며 이는 회원국들이 세계도핑방지규약과 국제표준에 적응하는 것을 돕는 것을 목표로 함.
WADA 회원국들은 지원을 받아 2021 도핑방지 규정을 준수할 수 있도록 나라별 도핑방지 규정을 개정하고 있으며, 2021 세계도핑방지규약 안에는 가맹기구가 해야 할 과정이 차례대로 안내되어 있음.
Finance
집행위원회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2019년 연말 결산보고서와 기관의 재무 관련하여 업데이트 된 사항들에 대해 보고받음. 연말 회계 장부는 발간 예정인 2019 WADA 연간 보고서에 수록될 예정임.
Science
집행위원회는 실험실국제표준에 따라 WADA 인증 실험실들을 위한 Technical Letter-TL22(에틸모르핀)를 승인함. 이는 허가 약물인 에틸모르핀의 투여로 인해 소변 샘플에서 결정 한계보다 높은 농도에서 모르핀이 검출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결정됨.
Next Meeting
차기 집행위원회 회의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9월 15일 대면회의로 개최될 예정임.
같이보기
⦁ RUSADA, 자국 선수들에게 도핑 검사 재개 고려 중
⦁ WADA, 4/9 Play True Day 도핑방지의 날
출처 - WADA
출처 - WADA
최근뉴스
최근뉴스
HOT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