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DA, 북한도핑방지위원회 비준수단체로 분류 > 최신뉴스

본문 바로가기
최신뉴스
최신 국제 스포츠 뉴스 소식을 전해 드립니다.
국제스포츠 NEWS
최신뉴스
TOP
WADA, 북한도핑방지위원회 비준수단체로 분류
2019-02-14 14:18:03
세계도핑방지기구(WADA, World Anti-Doping Agency)는 북한도핑방지위원회(DPRK Anti-Doping Committee)세계도핑방지규정 비준수단체로 규정해야 한다는 규정준수검토위원회(CRC, Compliance Review Committee)의 조언을 받아들여 북한도핑방지위원회를 비준수단체로 분류함.

0214-WADAWADA 로고 (출처: WADA)

이번 WADA의 결정은 지난 2018년 9월 20일 WADA 집행위원회는 북한도핑방지위원회를 ‘세계도핑방지규정 비준수단체’로 규정해야 한다는 규정준수검토위원회(CRC)의 조언을 받아들인 결과이며 이에 WADA 집행위원회는 북한이 CRC가 제기한 문제들에 대해 4개월 내에 시정할 것을 통보하였고, 기한을 지키지 못할 경우 비준수단체로 규정될 것임을 전달하였으나 2019년 1월 21일, 북한도핑방지위원회는 WADA가 제시한 시정사항들을 정해진 기간 내에 완료하지 못함. 따라서 WADA는 북한도핑방지위원회가 비준수단체로 분류되었음을 공식적으로 통보하였으며 이에 대해 21일의 기한 내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음을 전달함. 하지만 북한은 WADA가 제공한 이의제기 기간 동안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WADA의 결정을 받아들인 것으로 간주됨. 또한, 북한의 비준수단체 분류에 따른 불이익과 복권을 위한 조건은 WADA 공식 통보에 포함되어 있음. 앞으로 북한도핑방지위원회의 모든(또는 일부) 검사 활동은 제3자의 감독을 받아야하며 최대 연 6회의 현장방문을 포함, 모든 비용을 북한도핑방지위원회에서 사전에 지불하여야 함. 또한, 북한도핑방지위원회는 이와 관련하여 중국도핑방지위원회(CHINADA, China Anti-Doping Agency)와 협약을 맺은 바 있음. 북한도핑방지위원회 제재사항:
  1. 북한도핑방지위원회 관계자는 WADA 사무처나 위원회 등에 참여/활동 할 수 없음.
  2. 북한도핑방지위원회는 WADA가 주최, 또는 공동주최하는 어떤 행사도 개최할 수 없음.
  3. 북한도핑방지위원회 관계자는 WADA 독립감시단이나 Outreach Program 등 WADA 활동에 참가할 수 없음.
  4. 북한도핑방지위원회는 WADA로부터 그 어떤 직/간접적 자금 지원을 받을 수 없음.
북한도핑방지위원회 관계자는 WADA 가맹단체들의 이사회, 위원회 등에 참가할 자격이 제한되며 자격 제한의 기간은 최대 1년 또는 북한도핑방지위원회의 자격회복기간 중 더 긴 기간으로 적용될 전망임. 또한, WADA의 비준수 단체로 분류될 경우 잠재적인 결과들 중 하나로 WADA 가맹기구 규정준수 국제표준(ISCCS, International Standard for Code Compliance by Signatories)의 제11항에 따라 올림픽과 패럴림픽에서 배제가 될 수 있으며 관련 국가는 올림픽과 패럴림픽, 세계선수권대회 그리고 기타 국제스포츠이벤트의 개최 및 공동 개최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받을 수 없게 될 수도 있음. 기사원문보기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70256/north-korea-given-four-month-deadline-by-wada-to-address-doping-concerns-or-be-declared-non-compliant 한편, WADA는 북한도핑방지위원회의 규정 위반 사항들을 시정하기 위해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며 이번 사안에 대해 국제올림픽위원회(IOC,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에 통보하여 2월15일 스위스 로잔 IOC 본부에서 개최예정인 남∙북한 대표단 만남에서 의제로 다뤄지도록 IOC에 의견을 전달함.   관련기사  1. https://www.wada-ama.org/en/media/news/2019-02/wada-declares-the-democratic-peoples-republic-of-korea-anti-doping-committee-non 2.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70256/north-korea-given-four-month-deadline-by-wada-to-address-doping-concerns-or-be-declared-non-compliant 3. https://www.reuters.com/article/us-doping-wada-code/six-wada-non-compliant-countries-risk-olympic-ban-idUSKBN0NY2RW20150513   같이보기 WADA, 북한에게 ‘4개월’ 내 규정 위반사항 시정하라고 경고 WADA 집행위원회, RUSADA 징계 않기로 결정  
  출처 - insidethegames - Reuters - WADA

ISF에서 매주 발행하는
국제스포츠 지식·정보를 만나보세요!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