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DA, 러시아도핑방지위원회(RUSADA)의 자격정지 유지 (2018년 05월)
WADA는 2018년 5월 개최된 집행위원회 및 이사회 회의에서 2015년 11월부터 이어진 RUSADA의 자격정지 징계를 유지하기로 결정하였음. WADA는 RUSADA의 복권을 위한 2가지 조건이 충족될 것을 요구하였으나 아무런 진전이 없었다고 밝힘. WADA가 요구한 2가지 조건의 내용은 (1)McLaren 보고서 내용에 대한 러시아의 공식적인 인정과 (2)모스크바 실험실 데이터 공개였음.
관련기사: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65154/wada-maintain-rusada-suspension-after-no-progress-made
러시아 체육부장관 Pavel Kolobkov, WADA에 서한 (9월 13일)
러시아 체육부장관인 Pavel Kolobkov는 9월 13일 WADA의 Sir Craig Reedie회장에게 보낸 서한에서 “Schmid 보고서의 내용을 받아들인다.”라고 밝힘. Schmid 보고서는 McLaren 보고서와 비슷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만, McLaren 보고서와 비교하여 수위가 낮은 것으로 알려짐. 또한 Kolobkov는 “RUSADA의 자격이 회복된다면 빠른 시일 내에 제 3의 전문가에게 모스크바 실험실 자료를 공개하겠다.”라고 명시함.
관련기사:
http://aroundtherings.com/site/A__74564/Title__WADA-Committee-Calls-for-RUSADA-Reinstatement/292/Articles
WADA 규정준수검토위원회, 집행위원회에 RUSADA 복권 조언 (9월 14일)
WADA 규정준수검토위원회(CRC, Compliance Review Committee)는 Kolobkov의 서한을 검토하였고, 그 내용들이 복권을 위한 2가지 조건을 충족한다고 판단함. 이에 따라 CRC는 9월 20일 개최되는 집행위원회에서 RUSADA의 복권을 결정해야한다고 조언함. CRC 위원장인 Jonathan Taylor는 또한 집행위원회가 기간을 정해 러시아가 약속을 이행하지 않을 시 다시 자격을 정지해야 한다고 조언함.
관련기사: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69985/wada-defend-rusada-compromise-as-scott-quits-compliance-review-committee
WADA 선수위원장 Beckie Scott, CRC 위원직 사임 (9월 14일)
WADA 선수위원장인 Beckie Scott은 CRC의 RUSADA 복권 조언에 반발하여 CRC 위원직을 사임한 것으로 알려짐. 러시아에 강경한 입장을 밝혀왔던 캐나다 출신의 Scott은 선수위원회 위원장직은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관련기사: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69985/wada-defend-rusada-compromise-as-scott-quits-compliance-review-committee
Helleland WADA 부회장, 러시아 징계해제 반대 입장 표명 (9월 18일)
WADA의 Linda Helleland 부회장은 9월 20일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자신이 RUSADA 복권에 반대표를 던질 것이라고 밝힘. Helleland 부회장은 Kolobkov 서한의 내용이 WADA가 제시한 복권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밝힘. 그녀는 RUSADA의 징계를 해제하는 것이 “전 세계 선수들의 의견에 반하는 결정”이라면서 “WADA는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는 일을 하지 말아야한다”라고 주장함. Helleland 부회장은 또한 “RUSADA의 복권을 위한 노력은 인정하지만, McLaren 보고서를 인정하지 않고 WADA가 아직 모스크바 실험실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없는 상황에서 RUSADA의 복권을 찬성할 수 없다.”라고 밝힘.
관련기사: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70111/helleland-confirms-intention-to-vote-against-rusada-reinstatement
iNADO, WADA의 RUSADA 복권 추진에 실망감 표명 (9월 18일)
국가도핑방지기구협회(iNADO, Institute of National Anti-Doping Agency)는 발표한 성명에서 WADA가 “강대국의 입장에 굴복하지 말아야한다.”라고 주장함. iNADO는 Kolobkov의 서한에 담긴 내용이 WADA가 제시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다면서 “집행위원회 직전 조건들을 완화하여 RUSADA를 다시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 실망감을 감추기 힘들다.”라며 “최대한 이른 시간에 RUSADA가 모든 조건을 완벽하게 충족하여 복권되기를 희망한다.”라고 밝힘.
관련기사: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70082/inado-urge-wada-not-to-pander-to-russia-as-express-dismay-at-compromise
각국 선수들, WADA CRC의 결정에 반발 (9월 19일)
전 세계의 많은 선수들은 WADA 집행위원회와 CRC의 RUSADA 복권에 대해 반발하고 있음. IAAF와 WADA 선수위원회 위원들은 성명을 발표하고 RUSADA가 모든 조건을 완벽하게 충족해야 한다고 주장함. 또한, 미국 스켈레톤 대표 선수로 올림픽에 4회 참가한 경력이 있는 Katie Uhlaender는 “지금 상황에서 RUSADA의 복권은 선수들이 올림픽 무브먼트를 신뢰하기 어렵게 만든다.”라고 발표함.
관련기사:
(1)http://aroundtherings.com/site/A__74576/Title__WADA-Athletes-Protest-Russia-Reinstatement/292/Articles
(2)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70056/exclusive-uhlaender-claims-rusada-reinstatement-makes-it-difficult-for-athletes-to-believe-in-olympic-movement
IOC 선수위원회, WADA CRC 결정 지지선언 (9월 19일)
IOC 선수위원회는 이번 사안에 대해 WADA CRC의 결정에 동의한다고 발표함. IOC 선수위원회는 “위원들과 WADA CRC의 결정에 대해 논의하였고 이에 대해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라고 발표함. 또한, “앞으로 모스크바 실험실 개방을 향한 투명한 절차와 스케쥴을 기대한다.”라고 더했음.
관련기사: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70136/ioc-athletes-commission-back-wada-decision-to-reinstate-russia-as-criticism-of-proposal-continues
스위스 검찰, WADA 해킹 혐의로 러시아 스파이들 수사 중 (9월 15일)
스위스 검찰이 WADA의 로잔 사무실에 대한 해킹 시도 혐의로 두 명의 러시아 요원을 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스위스 검찰총장실(OAG, Office of Attorney General)은 성명에서 “WADA 로잔 사무실 해킹 시도에 대해 스파이 혐의로 두 명의 러시아 요원들에 대한 형사 소송 절차를 진행 중이다.”라고 발표함. OAG는 해당 소송 절차가 2017년 3월에 개시되었다고 밝혔음. 관계자들에 따르면 현재 수사 중인 두 명의 러시아 요원들은 베른 실험실 공격에도 연루된 인물들인 것으로 알려짐. 베른 실험실은 당시 영국 Salisbury에서 일어난 러시아 이중스파이 Sergei Skripal 독살 사건을 조사 중이었음. 러시아 요원들은 올해 초 네덜란드에서 체포되어 구금되었던 것으로 알려졌으며 영국, 스위스, 네덜란드 3국이 협력하여 조사를 마친 후 러시아로 다시 인도되었음.
관련기사: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69968/swiss-prosecutors-investigating-russian-agents-over-alleged-cyber-attack-on-wada
WADA 선수위원장 Beckie Scott, WADA 집행위원회의 폭언 폭로 (10월 19일)
WADA 선수위원회의 위원장인 Beckie Scott이 WADA 집행위원회로부터 폭언 및 조롱을 들었다고 폭로함. BBC와의 인터뷰에서 Scott은 9월 WADA 집행위원회 회의에 참석하여 RUSADA 복권에 반대하는 프레센테이션을 진행하였으나 비웃음과 조롱을 들었다고 밝힘. 또한 당시 이런 상황들에 대해서 누구도 반대하거나 맞서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Sir Craig Reedie 회장과 Olivier Niggli 사무총장에게 실망했다고 밝힘. USADA 의장과 WADA 교육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Edwin Moses도 이러한 일들이 사실이라고 밝히며 자신 또한 지난 5월 WADA 이사회에서 폭언을 들었다고 주장함. WADA는 이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며 부인하였음. 또한 IOC 집행위원회에서 활동 중인 Nenad Lalovic는 Beckie Scott의 폭로 시기 및 의도가 의심된다며 비판함.
관련기사:
https://www.bbc.com/sport/45840481
ROC, 올림픽 솔리더리티 및 OCA와 협약 체결, 도핑방지 교육 강화 (10월 26일)
러시아올림픽위원회(ROC)의 Stanislav Pozdnyakov회장과 올림픽 솔리더리티 위원장 및 OCA 회장인 Shiekh Ahmad Al-Fahad Al-Sabah 회장이 협약을 체결함. 협약의 주요 내용은 도핑방지 역량 향상과 아시아 국가들과의 교류 발전임. ROC는 이번 협약을 통해 러시아의 선수, 지도자, 전문가들 사이에 교육을 통한 도핑방지 문화 정립을 기대하고 있으며, 활발한 선수 및 학생 교류도 진행될 예정임.
관련기사: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71452/roc-sign-agreements-with-olympic-solidarity-and-oca-to-boost-anti-doping-efforts
미국 백악관에서 도핑방지 회담 개최, WADA는 ‘대표성’에 의문 제기 (10월 31일)
미국 백악관에서 도핑방지를 위한 회담이 개최되었음. 이번 회담은 백악관 국가 마약 단속 정책국(ONDCP, Office of National Doping Control Policy)와 USADA가 주최하였으며, RUSADA를 복권시킨 WADA의 결정을 비판하는 토론이 주를 이루었음. 총 14명의 관계자들이 참석하였으며 러시아 도핑의 내부 고발자 Yuliya Stepanova를 비롯하여 WADA 선수위원장 Beckie Scott 및 호주, 캐나다, 독일, 아일랜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영국의 체육부 장관 또는 국가도핑방지기구 수장들이 참석하였음. WADA의 Linda Helleland 부회장 또한 참석하였지만 WADA를 대표하여 참석한 것은 아니었음. WADA는 이번 회담에 대해 ‘대표성’이 부족하다고 주장함. WADA는 RUSADA를 복권시킨 자신들을 비판한 이 회담이 한쪽의 의견만 강조시킨다고 우려를 제기함.
관련기사: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71706/wada-criticise-one-sided-anti-doping-summit-at-white-house
WADA 전문가 모스크바 실험실 방문, 러시아 당국의 불허로 무산 (12월 21일)
WADA는 모스크바 실험실의 실험시정보관리시스템(LIMS, Labora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획득을 위한 전문가들을 모스크바에 파견했으나, 러시아 당국의 불허로 빈손으로 돌아가게 됨. 러시아 당국은 WADA 전문가들의 장비가 러시아 국법상 허가되지 않아 모스크바 실험실 출입을 허가할 수 없다는 입장을 표명함. WADA는 이에 대해 해당 문제가 해결될 경우 모스크바 실험실에 전문가들을 다시 파견할 의향이 있다고 밝힘. WADA 집행위원회는 지난 9월 20일 회의에서 RUSADA의 복권을 결정하며 이에 대한 필수 조건으로 모스크바 실험실정보관리시스템(LIMS)의 공개를 요구함. 이에 대한 기한은 12월 31일까지이며, 이를 넘길 경우 RUSADA에 대한 재징계 여부가 논의될 것으로 전망됨.
관련기사: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73647/russian-sports-minister-says-moscow-laboratory-is-ready-for-another-visit-from-wada
WADA CRC 1월 14일 개최, RUSADA 재징계 여부 논의 예정 (2019년 1월 2일)
WADA CRC가 2019년 1월 14일부터 15일까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회의를 개최하고 RUSADA 재징계 여부를 논의할 예정임. RUSADA는 12월 31일까지였던 모스크바 실험실 개방 기한을 충족시키지 못하였음. 이에 대해 WADA 부회장 Linda Helleland 및 평창올림픽에서 바이애슬론 금메달을 수상한 Sebastian Samuelsson 등은 CRC가 즉각적으로 RUSADA의 징계를 결정해야 한다고 촉구하였음. 특히 Samuelsson은 CRC 회의를 14일 개최하는 것은 RUSADA에 비공식적인 기한 연장이 아니냐고 주장함. 하지만 WADA는 이번 사안의 무게를 고려하였을 때 화상회의가 아닌 CRC 위원들이 모두 모여 회의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으며, 모든 위원들이 최대한 빨리 모일 수 있는 날짜가 1월 14일이라고 밝힘.
관련기사: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73787/wada-urged-to-immediately-declare-russia-non-compliant-as-global-response-to-deadline-miss-continues
Bach IOC 위원장, 러시아(ROC) 징계는 없을 것이라고 밝힘. IOC 선수위원회는 CRC의 적절한 조치 요구 (1월 4일)
Thomas Bach IOC 위원장은, WADA가 RUSADA를 재징계 하더라도, ROC에 대한 징계는 없을 것이라고 밝힘. Bach 위원장은 새해 인사에서 러시아가 도핑 스캔들에 대해 평창올림픽에서 이미 모든 징계를 받았다고 주장함. 이에 따라 일각에서 제기되는 ‘2020 도쿄올림픽’에서 러시아의 징계는 없을 것으로 전망됨. 한편 IOC 선수위원회는 RUSADA가 복권 필수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 것에 대해 ‘매우 실망’이라고 입장을 표명함. IOC 선수위원회는 성명을 발표하고 CRC가 14일부터 열리는 회의를 통해 RUSADA에 대한 적절할 조치를 취하길 기대한다고 밝혔으며, 마찬가지로 14일에 개최되는 선수위원회 회의를 통해 이번 사안을 심도 있게 논의할 것이라고 밝힘.
관련기사:
(1)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73777/russia-has-served-its-sanction-ioc-president-claims-as-anger-grows-over-missed-moscow-laboratory-deadline
(2)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73853/ioc-athletes-commission-call-for-wada-compliance-review-committee-to-recommend-immediate-measures-after-missed-rusada-deadline
WADA, 모스크바 실험실에 전문가 재파견할 계획 (1월 7일)
WADA는 1월 9일 3인으로 구성된 전문가들을 모스크바 실험실에 재파견할 계획이라고 밝힘. 지난 해 12월 WADA의 전문가들은 모스크바 실험실을 방문하였으나 러시아 당국이 장비들을 허가하지 않아 실험실 정보에 접근이 불가능했음. 러시아의 체육부장관 Pavel Kolobkov는 해당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밝혔으며 WADA 또한 장비와 관련된 이슈들이 해결되어 전문가들을 다시 파견하게 되었다고 발표함. 한편 WADA 전문가들이 이번 방문에서 모든 데이터를 얻느냐에 따라 RUSADA의 운명이 결정될 것으로 전망됨. WADA CRC는 14일과 15일 회의를 개최하여 RUSADA가 12월 31일 기한을 넘긴 것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며, 이후 WADA 집행위원회에 조언할 계획임. WADA 집행위원회는 이를 바탕으로 화상회의를 통해 결정을 내릴 예정임.
관련기사: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73958/wada-expert-team-to-return-to-russia-for-second-attempt-to-extract-moscow-laboratory-data
WADA 전문가들 모스크바 도착, 10일부터 재조사 실시 예정 (1월 9일)
장비 문제로 지난해 12월 모스크바 실험실 접근이 차단되었던 WADA가 1월 9일 모스크바에 전문가들을 다시 파견함. 1차 파견과 비교하여 5인에서 3인으로 축소된 WADA 전문가 집단은 10일부터 모스크바 실험실 조사 및 LIMS 획득을 위한 조사를 진행할 계획임.
관련기사: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74023/wada-team-arrive-in-moscow-to-start-data-extraction-as-kremlin-claim-understanding-reached
WADA 전문가 팀, 모스크바 실험실 도착 (1월 10일)
세계도핑방지기구(WADA, World Anti-Doping Agency)는 9일(현지시간) 3명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WADA 전문가 팀이 러시아 모스크바에 도착한 것을 확인하고 10일(현지시간)부터 러시아도핑방지기구(RUSADA, Russian Anti-Doping Agency)가 위치한 모스크바 실험실에서 핵심 데이터 복구 및 자료 수집을 실시할 전망임.
관련기사: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74023/wada-team-arrive-in-moscow-to-start-data-extraction-as-kremlin-claim-understanding-reached
WADA 전문가 팀, 모스크바 실험실 접근과 관련하여 ‘문제없음’ 보고 (1월 11일)
세계도핑방지기구(WADA, World Anti-Doping Agency)는 3명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WADA 전문가 팀이 모스크바 실험실로부터 중요한 자료를 회수하기 위한 작업을 시작했으며 지금까지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입장을 표명함.
관련기사: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74056/wada-team-gains-access-to-moscow-anti-doping-laboratory-and-report-no-issues
WADA 집행위원회, 1월 22일에 RUSADA 재징계 여부 결정 예정 (1월 12일)
세계도핑방지기구(WADA, World Anti-Doping Agency) 집행위원회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1월 14일부터 15일까지(현지시간) 실시될 규정준수검토위원회(CRC, Compliance Review Committee)의 회의 결과를 늦어도 17일까지(현지시간) 접수하여 오는 1월 22일 러시아도핑방지기구(RUSADA, Russian Anti-Doping Agency)의 재징계 여부를 최종 결정할 전망임.
관련기사: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74147/wada-executive-board-to-issue-rusada-compliance-verdict-on-january-22
WADA CRC, RUSADA 재징계 여부 관련 미팅 개최 (1월 13일)
러시아도핑방지기구(RUSADA, Russian Anti-Doping Agency)가 세계도핑방지기구(WADA, World Anti-Doping Agency)에게 모스크바 실험실의 주요 데이터와 샘플들을 넘겨주기로 한 마감시한을 넘긴 지 2주 만에 세계도핑방지기구(WADA, World Anti-Doping Agency) 규정준수검토위원회(CRC, Compliance Review Committee)의 회의가 14일부터 15일까지(현지시간) 이틀간 실시될 전망임. 또한, CRC는 회의 결과를 늦어도 17일까지(현지시간) WADA 집행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하며 집행위원회는 오는 1월 22일에 RUSADA의 재징계 여부를 최종 결정할 전망임.
관련기사: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74167/wadas-compliance-review-committee-poised-for-crunch-meeting-to-discuss-rus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