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SADA 징계해제 관련 주요 동향 > 최신뉴스

본문 바로가기
최신뉴스
최신 국제 스포츠 뉴스 소식을 전해 드립니다.
국제스포츠 NEWS
최신뉴스
TOP
RUSADA 징계해제 관련 주요 동향
2018-09-20 17:46:00
세계도핑방지기구(WADA, World Anti-Doping Agency)가 9월 20일(현지시간) 아프리카 세이셸 공화국에서 개최되는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러시아도핑방지기구(RUSADA, Russian Anti-Doping Agency)의 복권을 결정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이에 대한 찬반 논란이 일어나고 있음.   1. WADA, 러시아도핑방지위원회(RUSADA)의 자격정지 유지(201805) WADA는 2018년 5월 개최된 집행위원회 및 이사회 회의에서 2015년 11월부터 이어진 RUSADA의 자격정지 징계를 유지하기로 결정하였음. WADA는 RUSADA의 복권을 위한 2가지 조건이 충족될 것을 요구하였으나 아무런 진전이 없었다고 밝힘. WADA가 요구한 2가지 조건의 내용은 (1)McLaren 보고서 내용에 대한 러시아의 공식적인 인정과 (2)모스크바 실험실 데이터 공개였음. 관련기사: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65154/wada-maintain-rusada-suspension-after-no-progress-made   2. 러시아 체육부장관 Pavel Kolobkov, WADA에 서한(913) 러시아 체육부장관인 Pavel Kolobkov는 9월 13일 WADA의 Sir Craig Reedie회장에게 보낸 서한에서 “Schmid 보고서의 내용을 받아들인다.”라고 밝힘. Schmid 보고서는 McLaren 보고서와 비슷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만, McLaren 보고서와 비교하여 수위가 낮은 것으로 알려짐. 또한 Kolobkov는 “RUSADA의 자격이 회복된다면 빠른 시일 내에 제 3의 전문가에게 모스크바 실험실 자료를 공개하겠다.”라고 명시함. 관련기사: http://aroundtherings.com/site/A__74564/Title__WADA-Committee-Calls-for-RUSADA-Reinstatement/292/Articles    3. WADA 규정준수검토위원회, 집행위원회에 RUSADA 복권 조언(914) WADA 규정준수검토위원회(CRC, Compliance Review Committee)는 Kolobkov의 서한을 검토하였고, 그 내용들이 복권을 위한 2가지 조건을 충족한다고 판단함. 이에 따라 CRC는 9월 20일 개최되는 집행위원회에서 RUSADA의 복권을 결정해야한다고 조언함. CRC 위원장인 Jonathan Taylor는 또한 집행위원회가 기간을 정해 러시아가 약속을 이행하지 않을 시 다시 자격을 정지해야 한다고 조언함. 관련기사: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69985/wada-defend-rusada-compromise-as-scott-quits-compliance-review-committee   4. WADA 선수위원장 Beckie Scott, CRC 위원직 사임(914) WADA 선수위원장인 Beckie Scott은 CRC의 RUSADA 복권 조언에 반발하여 CRC 위원직을 사임한 것으로 알려짐. 러시아에 강경한 입장을 밝혀왔던 캐나다 출신의 Scott은 선수위원회 위원장직은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5. Helleland WADA 부회장, 러시아 징계해제 반대 입장 표명(918) WADA의 Linda Helleland 부회장은 9월 20일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자신이 RUSADA 복권에 반대표를 던질 것이라고 밝힘. Helleland 부회장은 Kolobkov 서한의 내용이 WADA가 제시한 복권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밝힘. 그녀는 RUSADA의 징계를 해제하는 것이 “전 세계 선수들의 의견에 반하는 결정”이라면서 “WADA는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는 일을 하지 말아야한다”라고 주장함. Helleland 부회장은 또한 “RUSADA의 복권을 위한 노력은 인정하지만, McLaren 보고서를 인정하지 않고 WADA가 아직 모스크바 실험실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없는 상황에서 RUSADA의 복권을 찬성할 수 없다.”라고 밝힘. 관련기사: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70111/helleland-confirms-intention-to-vote-against-rusada-reinstatement   6. iNADO, WADARUSADA 복권 추진에 실망감 표명(918) 국가도핑방지기구협회(iNADO, Institute of National Anti-Doping Agency)는 발표한 성명에서 WADA가 “강대국의 입장에 굴복하지 말아야한다.”라고 주장함. iNADO는 Kolobkov의 서한에 담긴 내용이 WADA가 제시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다면서 “집행위원회 직전 조건들을 완화하여 RUSADA를 다시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 실망감을 감추기 힘들다.”라며 “최대한 이른 시간에 RUSADA가 모든 조건을 완벽하게 충족하여 복권되기를 희망한다.”라고 밝힘. 관련기사: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70082/inado-urge-wada-not-to-pander-to-russia-as-express-dismay-at-compromise   7. 각국 선수들, WADA CRC의 결정에 반발(919) 전 세계의 많은 선수들은 WADA 집행위원회와 CRC의 RUSADA 복권에 대해 반발하고 있음. IAAF와 WADA 선수위원회 위원들은 성명을 발표하고 RUSADA가 모든 조건을 완벽하게 충족해야 한다고 주장함. 또한, 미국 스켈레톤 대표 선수로 올림픽에 4회 참가한 경력이 있는 Katie Uhlaender는 “지금 상황에서 RUSADA의 복권은 선수들이 올림픽 무브먼트를 신뢰하기 어렵게 만든다.”라고 발표함. 관련기사: (1) http://aroundtherings.com/site/A__74576/Title__WADA-Athletes-Protest-Russia-Reinstatement/292/Articles (2)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70056/exclusive-uhlaender-claims-rusada-reinstatement-makes-it-difficult-for-athletes-to-believe-in-olympic-movement   8. IOC 선수위원회, WADA CRC 결정 지지선언(919) IOC 선수위원회는 이번 사안에 대해 WADA CRC의 결정에 동의한다고 발표함. IOC 선수위원회는 “위원들과 WADA CRC의 결정에 대해 논의하였고 이에 대해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라고 발표함. 또한, “앞으로 모스크바 실험실 개방을 향한 투명한 절차와 스케쥴을 기대한다.”라고 더했음. 관련기사: https://www.insidethegames.biz/articles/1070136/ioc-athletes-commission-back-wada-decision-to-reinstate-russia-as-criticism-of-proposal-continues  

ISF에서 매주 발행하는
국제스포츠 지식·정보를 만나보세요!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