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스포츠동향 (09월 25일 – 09월 29일자 주요 뉴스) > 최신뉴스

본문 바로가기
최신뉴스
최신 국제 스포츠 뉴스 소식을 전해 드립니다.
국제스포츠 NEWS
최신뉴스
TOP
국제스포츠동향 (09월 25일 – 09월 29일자 주요 뉴스)
2017-09-29 10:07:35
1. WADA, ‘러시아 - 평창 올림픽 참가 가능할 것 세계도핑방지기구(WADA, World Anti-Doping Agency) 회장 Sir Craig Reedie는 러시아가 도핑 스캔들과 관련한 조사에 협조적으로 응하고 있어, 내년에 개최될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대회' 출전 자격을 회복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힘. 러시아대표팀의 ‘평창 2018’ 출전 여부는 오는 11월 15일 서울에서 개최되는 WADA 집행위원회 회의와 16일에 개최 예정인 설립이사회 회의에서 결정 날 것으로 예상됨. Reedie 회장은, 러시아가 이번 올림픽에 출전하려면 McLaren 보고서의 내용들을 인정하고 모스크바 연구소와 기록들을 공개해야 하며, 9월 27일에서 29일 사이 연구소 검사 진행을 허락해야 할 것이라고 출전 여부를 결정할 조건들을 강조함. 러시아도핑방지기구(RUSADA, Russian Anti-Doping Agency)는 지난 2015년 11월에 공개된 러시아의 조직적 도핑 혐의에 관한 McLaren 보고서가 나온 후 WADA로부터 자격정지 처분을 받았으며, WADA에서 요구하는 조건들을 순차적으로 이행하고 있다고 러시아 정부 및 WADA는 밝힘. 한편, 지난 '2016 리우 올림픽대회' 당시 러시아의 출전 자격을 두고,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종목 별 국제연맹(IFs)에 허용 여부를 일임하였으며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는 러시아 선수단 전체를 참가 불허한 바 있음. reedie

WADA 회장 Sir Craig Reedie (출처: BBC)

  2. IOC, '아슈가바트 2017' 대회 관련 인권 문제 무관심? 지난 17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오는 27일까지 투르크메니스탄 아슈가바트에서 개최되는 ‘2017 아시아실내무도경기대회(2017 Asian Indoor and Martial Arts Games)’를 방문한 국제인권감시단(Human Rights Watch)과 기자들은 언론의 자유와 인권 보장을 위한 IOC 개입이 결여되어 실망스럽다고 의견을 표명함. 또한, 민주주의 감시기구 프리덤 하우스(Freedom House)에 따르면 투르크메니스탄은 '자유롭지 않은 나라(Not Free Country)'로 분류되고 투르크메니스탄의 민주주의 점수는 에리트레아, 우즈베키스탄, 북한과 함께 3점을 받았으며 위 국가들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국가는 시리아 밖에 없다고 발표함. 한편, 유럽 및 중앙아시아 국제인권감시단(Europe and Central Asia of Human Rights Watch)과 투르크멘 인권단체(Turkmen Initiative for Human Rights)는 투르크메니스탄 정부가 대회를 앞두고 도시의 미관 개선 사업의 일환으로 자국민들을 강제로 퇴거시켜 주거권을 침해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하지 않았다고 주장함. 이와 관련하여 IOC 위원장 Thomas Bach와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Olympic Council of Asia) 위원장이자 국가올림픽위원회연합(ANOC, Association of National Olympic Committees) 회장이기도 한 Sheikh Ahmad Al-Fahad Al-Sabah에게 보낸 서신에 ‘아슈가바트 2017’ 대회로 인해 강제 퇴거된 투르크메니스탄 국민들에게 정당한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요구한바 있음.

 투르크 퇴거 (thrw)

아슈가바트 강제 퇴거 전후 위성사진 (출처: Human Rights Watch)

  3. 티베트 출신 최초 프로야구 선수 탄생 16세 포수로 활동 중인 Justin Qiang (Qiang Ba Ren Zeng)이 메이저리그(MLB, Major League Baseball)팀 Boston Red Sox와 계약을 맺으며, 티베트 출신 최초의 프로야구 선수로 인정받음. Qiang은 10,000달러 보너스 계약에 서명하며, 다음 달부터 플로리다에 있는 Red Sox의 인스트럭셔널 리그(Instructional League)에서 활동할 예정임. justin qiang 티베트 (mlb)

Justin Qiang (Qiang Ba Ren Zeng) (출처: MLB)

  4. 대한체육회 회장, 대부분 국가들 '평창 2018' 참여 할 것 지난 21일, 프랑스 라디오 RTL과 가진 회견에서 프랑스 체육부장관 Flessel이 올림픽에 참가하는 국가 중 처음으로 최근 북한의 핵위협으로 인해 ‘평창 2018‘ 대회에 불참할 수도 있다고 공개적으로 밝히며 이목이 집중 된 바 있음. 이에 대한체육회(KSOC, Korea Sport & Olympic Committee) 이기흥 회장은 최근 북한의 잇따른 도발에도 대부분 국가가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예정대로 참가할 것이라고 전망함. 앞서 이기흥 회장은 지난 13일, 페루 리마에서 진행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총회에 참석하여 IOC 위원장 Thomas Bach와 IOC 위원들에게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지원을 요청하기도 함. 한편, 북한은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당시 단 한 명의 선수도 출전하지 못했고,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역시 자력으로 출전권을 획득한 선수가 없는 상황임. 이에 이기흥 회장은 ‘어떤 형태로든 북한이 참가하기를 희망하며, 이는 정부 역시 같은 의견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함. 이기흥 리마 ioc 총회 (ksoc)

페루 리마에서 개최된 IOC 총회 (출처: KSOC)

   5. 스위스 법정, AIBA 회장 Wu 손들다 지난 7월 25일 국제복싱연맹(AIBA, International Boxing Association)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집행위원들이 부적절한 재정관리 문제를 이유로 現 AIBA 회장인 C K Wu의 사임을 촉구하며 임시관리위원회(IMC, Interim Management Committee)를 설립하고 본부를 점령하는 등 많은 사태가 발생한 바 있음. 이에 Wu 회장은 규정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IMC의 설립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스위스 법원에 해당 사건을 맡긴 바 있음. 이후 지난 25일(현지시각), 법원은 Wu 회장의 손을 들며 회장직을 유지하게 됨. 하지만 아직 오는 11월 12일 특별총회가 남아있어 최종적인 결론은 총회 투표를 통해 정해질 것으로 보임. AIBA Wu

AIBA 회장 C K Wu (출처: AIBA)

  6. 일본, ‘평창 2018’ 참가 기대 일본은 최근 남북관계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이에도 불구하고 ‘평창 2018’ 참가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힘. 지난 21일(현지시각) 프랑스 스포츠 장관 Laura Flessel은 프랑스 선수단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으면 ‘평창 2018’에 불참할 수도 있다고 언급하여 논란이 된 바 있음. 그러나 이후 프랑스올림픽위원회(CNOSF)가 직접 별다른 사항이 없는 이상 대회 참가 의사를 밝히며 Flessel 장관의 발언에 거리를 두는 모습을 보임. IOC를 포한한 미국 및 유럽 국가올림픽위원회 또한 대회 참가를 기대하며 우려를 최소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와중에 일본올림픽위원회도 직접 나서며 ‘평창 2018’을 지지하는 모습을 보임. 일본올림픽위원회 회장이자 IOC 위원인 Tsunekazu Takeda는, 같은 아시아 국가로서 ‘평창 2018’은 성공적일 것이고, 조직위원회가 안전을 보장할 것이라며, 굳은 믿음을 전함. 일본 takeda (japan daily press)

일본올림픽위원회 회장이자 IOC 위원인 Tsunekazu Takeda (출처: The Japan Daily Press)

  7. 인도네시아 태국, ‘2034 FIFA 월드컵유치에 도전 지난 23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개최된 동남아시아축구연맹(AFF, Asean Football Federation)평의회 및 총회에서 인도네시아와 태국 축구협회가 ‘2034 FIFA 월드컵’ 공동유치에 도전의사를 밝혔으며, AFF는 이와 같은 계획을 전폭적으로 지지한다고 발표함. 그러나 인도네시아 – 태국의 월드컵 유치 성공은 중국의 ‘2030 월드컵’이나 ‘2034 월드컵’ 유치 도전 여부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됨. 한편, 확정된 차기 FIFA 월드컵 개최지로는 현재 ‘2018 러시아 월드컵’과 ‘2022 카타르 월드컵’이 있으며 ‘2026 월드컵’ 공동 유치에 도전하는 미국 – 캐나다 – 멕시코와 홀로 서는 모로코, ‘2030 월드컵’ 에는 파라과이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의 공동유치 계획이 있음. 2017 aff 평의회 (aff)

AFF 평의회 회의 (출처: AFF)

  8. WADA, 파리 시험실 자격정지 최근 ‘2024 올림픽’ 개최권이 부여된 프랑스 파리의 도핑시험실(LNDD, Laboratoire National De Dépistage du Dopage de Châtenay-Malabry)이 지난 24일 세계도핑방지기구(WADA)로부터 임시 자격정지(provisionally suspended) 처분을 받은 것으로 드러남. 분석관련 이슈(analytical issues)로 인해 이와 같은 처분을 받은 LNDD는 정지 기간 동안 혈액 및 소변시료 분석 등 도핑방지와 관련된 모든 활동을 할 수 없게 됨. LNDD 사무총장 Mathieu Teoran은 “검정 로봇(sampling robot)”이 오염되어 발생한 일이라며, 신속히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전함. 현재까지 파리를 포함하여 콜롬비아, 미국, 멕시코, 포르투갈 소재 시험실들이 WADA로부터 자격정지 처분을 받은 바 있음. 한편, 프랑스 체육부 장관 Laura Flessel은 프랑스 선수단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으면 ‘평창 2018’에 불참할 수도 있다고 언급하여 논란이 된 바 있음.

 0704-WADA

WADA 공식 엠블럼 (출처: WADA)

  9. ‘평창 2018‘ 출전권 걸린 대회 일정 공개 마지막 ‘평창 2018‘ 출전권이 달린 대회들이 앞으로 개최될 예정임. 10월 9~14일 스웨덴 외스테르순드에서 개최 예정인 ‘장애인아이스하키 대회(Paralympic Winter Games Qualification Tournament)’에서 남은 3개의 출전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이 펼쳐질 것으로 보임. 현재까지 캐나다, 미국, 한국, 노르웨이, 이탈리아가 ‘평창 2018’ 출전권을 획득했으며 스웨덴, 체코, 독일, 일본, 슬로바키아가 본 대회에 참가하여 나머지 동계패럴림픽 출전권을 노릴 것으로 예상됨. 독일 오버스트도르프에서는 ‘Nebelhorn Trophy’ 피겨스케이팅 대회가 9월 27일부터 3일간 펼쳐질 예정이며 이 또한 ‘평창 2018‘ 출전권을 획득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가 될 것임. 100명 이상의 선수들이 참가하여 남은 15개의 출전권을 위해 경쟁을 펼칠 예정이며, 북한의 ’평창 2018‘ 출전권 획득을 위한 가장 가능성 높은 대회로 이목이 집중되고 있음. 한편, 9월 28일부터 4차례에 나뉘어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월드컵이 진행될 예정이며, ‘평창 2018‘ 개최국으로서 이미 동계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한 한국을 제외하고 나머지 국가들이 32개의 개인종목과 8개의 단체종목 출전권을 획득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펼칠 예정임.

 서이라 쇼트트랙 (한국일보)

한국 쇼트트랙을 대표하는 서이라 선수 (출처: 한국일보)

  10. 2017 아슈가바트 실내무도아시안게임 폐막 지난 27일 아슈가바트 투르크메니스탄 올림픽 경기장에서 실시된 ‘제5회 실내무도아시안게임(5th Asian Indoor and Martial Arts Games) 폐막식’을 끝으로 성황리에 막을 내림. 폐막식에는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 Gurbanguly Berdimuhamedov과 OCA(Olympic Council of Asia) 위원장 Sheikh Ahmad Al-Fahad Al-Sabah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하였으며, 45,000여명이 관중들이 모인 가운데 실시됨. 이날 폐막식에 참석한 Sheikh Ahmad Al-Fahad Al-Sabah 위원장은 ‘역대 최고의 실내무도아시안게임이 실시된 아슈가바트에 초대해줘서 감사하며 대회는 끝났지만 우리의 우정과 파트너십은 지속 될 것이다’라고 언급함. 이번 대회는 지난 9월 16일부터 27일까지 12일간 실시되었으며, 아시아 45개국과 오세니아와 아프리카 난민 팀을 포함한 19개국에서 6,000여명의 선수들이 참가함. 한편, 개최국인 투르크메니스탄은 금메달 89개, 은메달 70개, 동메달 86개를 포함하여 종합 1위를 차지하였고 2위는 금메달 42개, 은메달 32개, 동메달 23개를 획득한 중국, 그리고 3위는 금메달 36개, 은메달 23개, 동메달 59개를 획득한 이란이 차지하였으며 한국은 금메달 15개, 은메달 11개, 동메달 15개를 획득하며 종합 7위를 차지하며 대회를 마감함.

 2017 aimag 폐막식 (oca)

‘제5회 실내무도아시안게임 폐막식’ (출처: OCA)


ISF에서 매주 발행하는
국제스포츠 지식·정보를 만나보세요!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