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스포츠 동향 (11월 22일 – 11월 24일) > 최신뉴스

본문 바로가기
최신뉴스
최신 국제 스포츠 뉴스 소식을 전해 드립니다.
국제스포츠 NEWS
최신뉴스
TOP
국제 스포츠 동향 (11월 22일 – 11월 24일)
2016-11-24 18:15:42
OCA, 삿포로 동계아시안게임 위한 'protocol meeting' 진행
  ‘2017 삿포로동계아시아경기대회조직위원회가 준비사항을 검토하는 차원에서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와 함께 'protocol meeting'을 진행함. 이번 ‘protocol meeting’을 통해 개막식에 참석하는 VIP 인사들의 교통편 마련, 숙소 선정 등의 다양한 의전업무 지원에 대한 논의가 진행됨. 또한, ‘2002 FIFA 대한민국·일본 월드컵’이 개최되었던 경기장이자 ‘2017 삿포로동계아시아경기대회’ 개막식이 열릴 장소인 삿포로 돔구장도 직접 방문하여 관중석과 같은 주요 시설들을 시찰하는 시간도 가짐. 3일 간의 'protocol meeting'을 마치며 OCA Protocol Director Mr. Abdulla Al Mulla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며 만족감을 드러냄과 동시에 대회가 순조롭게 운영되기 위해 OCA가 조직위원회를 도울 것이라고 밝힘. 한편, ‘2017 삿포로 동계아시안게임’은 내년 1월 19일부터 26일까지, 총 8일 간 개최될 예정임. protocol meeting

‘Protocol Meeting’ 참가자들의 모습 (출처: Insidethegames)

  같이보기 ‘2017 삿포로 동계아시안게임’에 오세아니아 참가 예정
 
   IOC, 약물 부정행위 방지를 위해 오사카규정재도입 추진
  IOC가 논란의 중심에 있는 오사카규정(Osaka Rule)’의 재도입을 제안하며 세계도핑방지기구(WADA)의 규정 중 일부가 되도록 추진함. 이에 WADA 회장 Sir Craig Reedie오사카규정을 도입하기 이전에 먼저 적합한 법률 자문을 구하겠다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밝힘. 2007년 일본 오사카에서 개최된 육상세계선수권대회에서 처음 도입된 ‘오사카규정’은, 도핑방지규정을 위반하여 6개월 이상의 징계를 받은 선수에게 다음 올림픽 출전을 금지하는 규칙임. 하지만 2011년에 미국올림픽위원회(USOC)가 스포츠중재재판소(CAS)에 '오사카규정'은 한 가지 위법사항을 두 번 처벌하는 행위라며 이의를 제기하여 승소한 바 있음. 한편, 이번 사안은 다음달 9일 런던에서 공개되는 Richard Mclaren 교수의 두 번째 ‘McLaren Report'와 함께 안건으로 상정되어 추가적으로 논의될 예정임. reedie

WADA 회장으로 재선임된 Sir Craig Reedie (출처: Insidethegames)



러시아 부총리, RPC 자격정지 해제 요건 비난
  러시아 부총리이자 체육부 장관인 Vitaly Mutko가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로부터 전달받은 러시아패럴림픽위원회(RPC) 자격정지 해제를 위한 필요요건을 비난함. IPC는 23일 세계도핑방지기구(WADA)와의 협의를 통해 RPC의 자격정지 처분 해지를 위한 준수사항을 개정하여 전달 함. 이 중에는 RPC가 2017년 1월 1일을 시작으로 자격정지가 해제될 때까지 매년 264,000 USD (한화 약 3억 원), 자격회복 이후 3년 동안 매년 132,000 USD (한화 약 1억5천만 원)의 금액을 지불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음. Mutko는 이를 부적절하며 과도한 벌금이라 주장하는 반면 IPC는 개선된 도핑방지시스템의 도입을 위해 필요한 금액이라고 밝힘. mutko

러시아 부총리 Vitaly Mutko (출처: Insidethegames)

  같이보기 IPC, RPC에 자격정지 처분 해지를 위한 준수사항 전달 러시아 체육부 장관 Vitaly Mutko 러시아 부총리로 임명 IPC, 러시아 선수단 개인자격 출전도 불허 CAS, 러시아대표팀 리우패럴림픽 출전 불허  
 
  케냐 NOC 부회장 구속
  케냐 NOC (NOCK) 부회장 Ben Ekumbo가 선수들을 위해 지급된 물품 및 자금을 빼돌린 혐의로 구속됨. Ekumbo의 집에서 ‘2016 리우올림픽대회’에 참가한 선수들을 위해 정부로부터 지급된 Nike 운동화와 선수단 유니폼 등이 대거 발견됨. 지난 ‘2016 리우올림픽대회’ 폐막 직후, 케냐의 마라톤 선수 Wesley Korir가 케냐 선수단이 귀국길에 오르지 못하고 빈민가에 머물게 된 사건을 폭로하면서 케냐 정부가 조사에 착수했으며 이로 인해 고위관료들이 800만 USD (한화 약 94억 원)에 달하는 물품 및 자금을 빼돌린 사실이 드러남. 지금까지 선수단장 Stephen Soi, NOCK 부회장 Pius Ochieng, NOCK 사무총장 Francis Paul, NOCK 총무 Fridah Shiroya가 구속된 바 있음. 한편, 지난 9월 케냐 체육부 장관 Hassan Wario는 ‘2016 리우올림픽대회’에서의 선수단 관리 문제로 NOCK를 해산한 바 있으며 이에 IOC는 빠른 시간 안에 NOC가 새로 결성되지 않는 이상 자치권 관련 규정을 위반한 혐의로 자격정지 처분을 내리겠다고 밝힌 바 있음. ekumbo

케냐 NOC 부회장 Ben Ekumbo (출처: Insidethegames)

  같이보기 케냐 대통령, ‘리우 올림픽에서의 행정적 실패 되풀이하지 않을 것’ 케냐 NOC 해체 후, IOC와의 논의를 통해 재선거 실시 예정  케냐 NOC와 정부 간의 갈등 방지를 위해 IOC 개입  케냐 정부, NOC 해체해 케냐 육상 코치, 선수 대신 도핑테스트? 케냐 선수단, 도핑 의혹  
  출처 - Around the Rings - Insidethegames - Sportcal - OCA

ISF에서 매주 발행하는
국제스포츠 지식·정보를 만나보세요!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