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수영연맹, 집행위 주요결정사항
2016-02-05
09:35:55
국제수영연맹(FINA: International Swimming Federation)이 2016년 1월 30일 헝가리 마자르(Magyar)에서 집행위원회(Bureau Meeting)를 개최함.
조직 거버넌스 개선 및 차기 세계수영선수권대회 개최지 선정 등 굵직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져 주목됨.
FINA는 굿 거버넌스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IOC의 기조에 따라, 전문 기업인 Carrard Consulting SA와 계약을 체결하여 FINA의 거버넌스를 점검하고 개선방향을 도출하기로 결정함.
Carrard Consulting SA는 스위스 변호사 출신인 François Carrard의 회사로, Carrard는 2003년부터 약 14년간 IOC의 사무총장(Director General)으로 활동하며 2002솔트레이크동계올림픽 유치 관련 스캔들로 논란에 휩싸였던 IOC를 개혁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담당함.
Carrard는 지난 2015년 8월, 부정부패 의혹이 지속되고 있는 FIFA(International Association Football Federation)의 개혁위원회(Reform Committee) 위원장으로 임명된 바 있음.
Carrard는 조직 운영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며, 이는 FINA 정관(Constitution)의 변경을 포함함.
FINA는 또한 승부조작을 금지하는 내용의 조항을 FINA 윤리 규정(Code of Ethics)에 추가했으며, 이는 최근 승부조작에 대한 대처를 강화한 IOC의 선례를 따른 것이라고 밝힘.
한편, 지난 2015년 7월 러시아 카잔에서 개최된 임시 총회(Extraordinary Congress)에서 회장을 포함한 집행위원의 연령제한 조항이 개정된 바 있어 주목됨.
당초 회장을 포함하여 집행위원으로 선출되는 자의 나이는 80세를 넘을 수 없었으나, 이러한 제한이 폐지되며 현 회장인 Julio C. Maglione의 3선 도전이 가능해짐.
이번 집행위원회에서 FINA는 2021세계수영선수권대회와 2023세계수영선수권대회의 개최지를 각각 일본 후쿠오카와 카타르 도하로 선정함.
대한민국 광주에서 2019세계수영선수권대회가 개최될 예정임에 따라, 아시아 대륙에서 최소 3연속 세계선수권대회가 개최됨.
한편, 중국 난징이 2025세계수영선수권대회의 개최 의사를 밝히며, 올림픽(2018평창, 2020도쿄, 2022베이징)과 더불어 세계수영선수권대회도 한중일 3국에서 집중적으로 개최될 수 있을지 주목됨.
이외에도, FINA 집행위는 여러 사안들을 결정함.
[멕시코 수영연맹 자격 정지]
FINA는 이번 집행위원회를 통해 멕시코수영연맹(Mexican Swimming Federation)의 자격을 잠정적으로 정지(temporary suspension)했다고 밝힘.
이는 멕시코가 2017세계수영선수권대회 개최를 포기하며 계약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발표됨. 멕시코는 지난 2015년 2월 국가 재정 악화를 이유로 해당 대회 개최를 철회한 바 있음.
2017세계수영선수권대회는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2017년 7월 개최될 예정임.
[새로운 집행위원 선임]
FINA는 한국의 이기흥 대한수영연맹 회장과 아랍에미리트의 Ahmed Al Falasi를 집행위원(Bureau Member)으로 선임함.
FINA는 2019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와 2020아부다비쇼트코스(25m)세계수영선수권대회의 운영(organisation)과 관련하여 두 인물을 집행위원으로 임명했다고 밝힘.
FINA 정관에 따라, 이기흥 회장과 Al Falasi는 2019년까지 4년 간 FINA 집행위원으로 활동할 예정임.
같이보기
굿 거버넌스: 스포츠 조직의 자치성을 위한 필요조건
국제수영연맹, IOC에 이어 보상정책 공개
우크라이나 수영선수, 도핑 적발로 런던올림픽 실격
FINA, 중국기업 HOSA와 스폰서십 체결
FINA, 조직 거버넌스 개선 시도? |

2002솔트레이크동계올림픽 유치 스캔들 | ||||
○ | 1998년 11월, 올림픽 유치에 성공한 2000솔트레이크시티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가 올림픽 유치과정에서 IOC위원들에게 뇌물을 공여한 사실이 드러남. | |||
○ | 이 사건을 계기로 IOC는 대대적인 조직 개혁을 실시했으며, 그 결과 윤리위원회(Ethics Commission) 창설, IOC 위원 정년 단축, 유치도시 방문 금지 등의 변화를 시행함. |

FINA 윤리규정 V.C.4 | ||||
○ | Betting on Aquatics and other corrupt practices relating to the sport of Aquatics by any person being subject to this Code, including improperly influencing the outcomes and results of an event or competition are prohibited. Any person being subject to this Code is forbidden from having stakes, either actively or passively, in any entity or, organization that promotes, brokers, arranges or conducts such activities or transactions. | |||
○ | (수영 종목에 대한 베팅과 경기결과 또는 대회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부정 행위가 금지되며, 불법도박업체에 능동적 및 수동적으로 내기를 거는 행위가 금지됨.) |
Julio C. Maglione 국제수영연맹 회장 Photo by fina.org
1935년생인 Maglione는 차기 회장 선거가 열리는 2017년에 81세가 됨.차기 세계수영선수권대회 개최지 발표 |

FINA 세계수영선수권대회 개최연도 및 개최지 | ||||
○ | 2017년: 헝가리 부다페스트 | |||
○ | 2019년: 대한민국 광주 | |||
○ | 2021년: 일본 후쿠오카 | |||
○ | 2023년: 카타르 도하 | |||
○ | 2025년: 중국 난징(미정-개최 신청 상태) |
FINA 집행위원회 기타 결정 사항 |

FINA 정관 17.1.8 조항 | ||||
○ | The FINA Bureau shall have the right to co-opt a representative from the Member where the next Olympic Games and/or World Championships will be held. This representative shall be a member of the FINA Bureau without vote. | |||
○ | (FINA 집행위원회는 차기 올림픽 대회 및 세계수영선수권대회가 개최되는 나라의 대표를 집행위원으로 선임할 수 있음. 이와 같이 선임되는 집행위원에게는 투표권이 주어지지 않음.) |
![]() |
ISC의 모든 콘텐츠는 독자여러분들과 함께 만들어 나갑니다. 의견이나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admin@isccenter.org로 연락 바랍니다. |
최근뉴스
최근뉴스
HOT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