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스포츠지식 |
|
스포츠와 개발
|
Sport & Development |
- |
- 하재필 (ISC 연구위원, 경상대학교 교수), Team ISC 공저 |
- |

--
-
2000년 9월, UN(United Nations)은 8가지의 새천년개발목표(MDG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를 채택하였다.
이후 국제사회는 정치, 경제, 사회, 환경 등의 분야에 공헌하고자 자국 이기주의에서 벗어나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MDGs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MDGs를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스포츠의 역할이 강조되었다.
|
 |
새천년개발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 |
|
|
|
|
2000년 9월, UN Millennium Summit을 통해 결정된 범지구적 개발 목표. |
|
|
|
|
- |
|
|
|
|
절대 빈곤 및 기아 퇴치, 보편적 초등교육의 실현, 양성평등 및 여성의 능력 고양, 아동사망률 감소, 모성 보건 증진, HIV/AIDS와 말라리아 등의 질병 퇴치, 지속가능한 환경조성, 개발을 위한 전 지구적 파트너십 구축 등 8가지 목표를 2015년까지 이행하기 위해 발표됨. |
이와 더불어 UN은 2001년 UN 사무총장 산하의 스포츠개발평화사무국(UNOSDP: United Nations Office on Sport for Development and Peace)을 창설하였다. 이를 기점으로, UN은 사회 및 경제 개발은 물론 난민, 여성, 청소년, 장애인 등 개발도상국의 소외계층이 직면한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수단으로 스포츠를 적극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 ISC Conference 2012: Sport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에 연사로 참가한 Wifried Lemke UN 사무총장 스포츠 특별보좌관 -
|
 |
스포츠개발평화사무국(UN Office on Sport for Development and Peace) |
|
|
|
|
스포츠가 지닌 잠재력을 발굴하여 평화 및 국제 개발을 위한 UN의 각종 활동에 스포츠를 접목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창설된 UN의 산하기관 |
|
|
|
|
- |
|
|
|
|
2001년 Adolf Ogi가 초대 소장으로 임명되었으며, UNOSDP의 소장은 UN사무총장(Secretary-General)의 스포츠 특별보좌관 역을 함께 수행함. 2008년부터는 독일의 Wilfried Lemke가 이 임무를 수행하고 있음. |
IOC 또한 2014년 12월 Olympic Agenda 2020을 통과시키고 권고안 21번 "Strengthen IOC Advocacy Capacity"를 통해 국제사회에서 IOC의 영향력을 강화할 것을 천명하였다.
IOC는 해당 권고안에서 IOC의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포츠를 통한 개발'을 적극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2014년 12월 IOC가 발표한 Olympic Agenda 2020의 권고안 21번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IOC는 국제사회에서 IOC의 영향력을 기존보다 더욱 강화
- UN의 Development Agenda에 스포츠와 관련된 항목을 추가하기 위해 노력
- IOC는 앞으로도 스포츠가 지닌 풍부한 잠재력을 바탕으로 UN과의 공조를 강화
- IOC는 또한 각국 정부와의 대화를 지속하고 스포츠를 통해 미래의 지속가능한 개발에 이바지
Olympic Agenda 2020이 통과된 뒤 6개월 후인 지난 2015년 5월, IOC는 Public Affairs and Social Development through Sport Commission을 신설하고, '스포츠와 개발'을 위한 전략을 본격적으로 실행하고 있다.
|
|
스포츠와 개발(Sport and Development)의 개념 |
|
|
스포츠와 개발은 크게 두 가지 관점으로 해석될 수 있다.
첫 번째 관점은 ‘스포츠의 개발(development of sport)'이라는 전통적인 개념이다. 이 개념은 스포츠 기반시설의(infrastructure) 확충, 지도 기술 향상, 스포츠용품 혹은 장비의 개발 등 스포츠 자체의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두 번째 관점은 ‘스포츠를 통한 개발(development through sport)'이다. 이 관점은 스포츠를 사회 변화 및 개발을 위한 동인(動因), 즉 하나의 중요한 수단으로 보고 있다. 특히 UN이 MDGs를 채택한 이후 ‘개발을 위한 스포츠(Sport for Development)’ 가 본격적으로 부상하였는데, 이는 바로 '스포츠를 통한 개발'의 관점을 근간으로 한다.
|
 |
개발을 위한 스포츠(Sport for Development) |
|
|
|
|
Lyras & Welty Peachey (2011)는 개발을 위한 스포츠의 개념을 소개하며, 스포츠가 공공보건과 아동, 청소년, 성인의 사회화, 소외계층의 사회통합, 지역 경제 개발, 문화 교류의 촉진, 갈등과 대립의 해소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언급함. |
|
|
|
|
|
Roger Levemore(2008)는 이러한 '스포츠를 통한 개발' 관점을 ‘Sport Plus’와 ‘Plus Sport’로 세분화하였다. ‘Sport-Plus’는 스포츠 자체의 발전에 우선순위를 두는 동시에 스포츠를 통한 사회 개발 효과를 부차적으로 추구하는 개념인 반면, ‘Plus-Sport’는 스포츠 자체의 발전보다는 스포츠를 통한 사회 변화 및 개발 목표 달성에 주안점을 두는 개념이다.
상기한 '스포츠와 개발'의 다양한 관점에 근거하여, 전 세계의 공공 및 민간 기관들은 다수의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사업 및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Development of Sport 프로그램: 스포츠 기반 및 역량의 수준 향상 자체에만 관심을 두는 프로그램. 스포츠 시설, 설비 및 장비의 확충, 스포츠 기관과 프로그램의 개발, 코치, 선수 등 스포츠 인적자원의 역량 제고 등을 지원
- Sport-Plus 프로그램: 스포츠 기반 및 역량 강화에 집중하는 한편, 보건, 교육 등의 개발성과 등을 고려
- Plus-Sport 프로그램: 개발도상국의 개발 성과를 프로그램의 우선적인 목표로 삼으며, 사회, 경제적인 개발목표의 달성을 위해 스포츠를 수단으로 활용
사회 개발을 위한 여러 수단 중, 스포츠는 상대적으로 저비용, 고효율(Cost-effective)의 수단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이는 스포츠가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 Universal popularity: 스포츠는 국가적, 문화적, 인종적, 종교적, 경제적, 정치적 차이를 넘어 전 세계 어디에서나 사회문화적 가치를 지니며, 사람들로 하여금 높은 관심을 이끌어 낸다.
- Capacity as a powerful global communications platform: 스포츠에는 비언어적 요소가 상당 부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스포츠는 언어와 문화를 초월한 효과적인 의사소통 수단이 될 수 있다.
- Ability to connect: 스포츠는 인간의 사회화 과정을 돕고, 서로 어울릴 수 있도록 한다.
- Cross-cutting nature: 스포츠는 다양한 개발 분야 및 현안에 적용될 수 있다.
- Potential to empower, motivate, and inspire: 스포츠는 개인의 강점과 역량을 끌어내고 발전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다.
|
|
개발을 위한 스포츠의 차원(Level of Sport for Development) |
|
|
오늘날 개발을 위한 스포츠(SFD: Sport for Development) 프로그램은 크게 Micro-level(개인 차원), Meso-level(지역사회 차원), Macro-level(국가적 차원과 국제적 차원)에서 실시되고 있으며, 각 차원(Level)별로 스포츠를 통한 개발의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개인차원의 개발(Micro-Level): 육체와 정신(자존감 등)의 건강 증진, 인적 자본(Human Capital)의 개발
- 지역사회차원의 개발(Meso-Level): 사회 통합, 공동체 형성, 공동체 활성화
- 국가-국제차원의 개발(Macro-level): 시민 사회 역량 강화, 민주성 제고, 다양한 사회 문제 해결의 기반 제공
이러한 가운데, UN을 비롯한 다양한 공공 및 민간단체들이 개발을 위한 스포츠(SFD: Sport for Development)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UN 관련 기관: UNOSDP, UNHCR, UNDP, UNESCO 등
- 국제스포츠기구: IOC, IFs(FIFA, WTF 등)
- 스포츠 및 비-스포츠 관련 NGO: Right to Play, UNICEF 등
- 정부기관: 스포츠 관련 정부기관(예: 문화체육관광부), 국제개발협력 관계기관(예:KOICA)
이러한 가운데 최근 들어, 각종 SFD 프로그램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SFD Movement 주체(기관, 실무자, 연구자들) 간의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이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대두하고 있다.
IOC 또한 지난 2014년 5월 UN과의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이러한 SFD Movement를 적극적으로 전개해 나갈 것을 시사한 바 있다.
Thomas Bach IOC 위원장과 반기문 UN 사무총장은 뉴욕에 위치한 UN 본부에서 두 기관 간 협력 강화를 위한 MOU를 체결하고, 스포츠를 통해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 평화를 도모할 것을 약속하였다.
양 기관이 추진하기로 합의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 빈곤하고(disadvantaged) 소외된(marginalised) 지역을 포함한 전 세계 모든 지역 사회가 스포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함.
- 청소년 권리 신장(empowerment) 및 교육, 운동능력 개발
- 소녀와 여성의 권리 신장(empowerment)
- 평화 증진과 지역사회 간 대화(community dialogue) 독려
SFD 프로그램 참여자 수 또한 큰 폭으로 확대되고 있다.
International Platform on Sport for Development(sportanddevelopment.org)에 따르면, SFD 프로그램에 관심을 나타내거나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조직의 수는 2011년 295개에서 2015년 630여 개로 두 배 이상 증가하였다.
|
|
UN의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
|
|
2015년 이후 SFD Movement는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었다. UN이 약 15년 전 만장일치로 채택한 MDGs가 바로 2015년에 종료되기 때문이다.
지난 15년간 MDGs의 달성을 위해 노력해온 기간동안 UN과 IOC, 각국 정부기관, NGO, 민간기업 등은 개발과 관련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스포츠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SFD Movement를 전 세계적으로 확산시키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일부 목표를 제외하곤 아직 8가지 MDGs의 대부분이 달성되지 않았다. 그리하여 UN은 2015년 8월 에티오피아의 수도 Addis Ababa에서 193개 회원국과 함께 2016년부터 2030년까지 15년간 세계 각국이 함께 추진할 현안으로 '지속가능개발목표(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설정하였다.
2015년 9월 25~27일에 개최된 UN개발정상회의(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Summit 2015)에서 채택된 SDGs는 17개의 목표와 169개의 세부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MDGs가 빈곤퇴치, 기본교육제공, 질병 퇴치 등 8개의 달성과제로 구성된 반면, SDGs는 총 17개의 달성 과제를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 MDGs에서 제시되었던 기본적인 개발목표들은 SDGs에 의해 대부분 승계되었다. 더불어 SDGs는 기후변화, 에너지, 식량 등 MDGs가 다루지 않았던 분야 또한 새롭게 제시하였다.
또한 MDGs가 각국의 의무사항이 아닌 권고사항 수준에 불과하여 각 과제를 이행함에 있어 한계를 내재하고 있었음에 반해, SDGs에서는 각 국이 추진 및 이행 현황을 UN에 의무적으로 보고하게 하였다.
사진 출처: https://sustainabledevelopment.un.org/ via Wikicommons
비록 스포츠는 SDGs가 전면에 제시하는 17개 과제에 이름을 올리지는 않았다.
그러나 UN은 같은 날 발표된 'Transforming Our Worl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의 37번을 통해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수단으로써 스포츠의 역할과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스포츠는 지속가능한 개발을 가능하도록 하는 조력자이며, 스포츠가 전달하는 관용과 존중은 세계 평화와 국제 개발에 점점 더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스포츠는 여성과 청소년, 개인과 공동체에 역량을 부과하며, 건강과 교육, 사회통합 등의 개발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 역량을 부과한다."
“Sport is also an important enabler of sustainable development. We recognize the growing contribution of sport to the realization of development and peace in its promotion of tolerance and respect and the contributions it makes to the empowerment of women and of young people, individuals and communities as well as to health, education and social inclusion objectives.”
또한, Thomas Bach IOC 위원장은 2015년 9월 25일 UN개발정상회의 연설에서 스포츠가 SDGs를 실현함에 있어 당연한 동반자라고 밝혔다. (Sport is natural partner when it comes to realising the ambitious agenda that will guide global development over the next 15 years)
특히, Bach 위원장은 17개의 SDGs 중, Goal 3(the attainment of healthy lifestyles), Goal 4(education), Goal 5(gender equality), Goal 16(peace-building and preventing conflict), Goal 17(global partnership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등 5개의 목표가 스포츠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고 언급하며, 개발을 위한 스포츠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이에, 반기문 UN 사무총장은 '올림픽의 원칙이 바로 UN의 원칙(Olympic Principles are United Nations Principles)'이라고 화답하며, SDGs의 달성에 있어 스포츠의 역할이 중요함을 다시 한번 강조하였다.
2010년, 대한민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의 개발원조위원회(DAC: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에 가입하였다.
불과 50년 전 원조를 받던 대한민국은 이제 원조를 제공하는 국가로 발돋움하였다. 이는 이제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에서 경제적으로 발전한 국가로서 책임감을 갖고 개발도상국을 지원하는 국가가 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경제적인 영역을 넘어 스포츠 영역에서도 이와 같은 책임감을 적극적으로 실천해야 한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대한민국에서는 정부를 중심으로 ‘SFD Movement’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문화체육관광부(MCS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가 2013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서울대학교 Dream Together Master Program을 들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우리나라가 보유하고 있는 스포츠 관련 지식이나 정보, 시스템 등을 개발도상국과 공유하는 데 있다.
이 외에도 문화체육관광부는 평창 드림프로그램, 스포츠 지도자 파견 및 용품지원 사업, 태권도평화봉사단 및 사범 파견 등과 같은 스포츠 관련 ODA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문화체육관광부의 스포츠 관련 ODA 연도별 예산 (출처: 문체부 홈페이지('13. 2.), 개도국 스포츠 발전지원 계획) -
하지만 현재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진행 중인 대부분의 SFD 프로그램은 스포츠를 개도국의 사회 변화와 개발을 위한 수단으로 바라보기보다는, 단순히 개발도상국 스포츠 자체의 발전(특히 엘리트 스포츠)을 위한 수단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다시 말해, 현재 우리나라의 스포츠 관련 ODA는 SFD Movement의 핵심 개념인 Development through Sport보다는 Development of Sport의 관점에 편향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몇십 년간 줄곧 국제스포츠 무대에서 상위권의 성적을 유지하며 ‘스포츠 강국’으로서의 입지를 구축해 왔다. 우리나라는 그 과정에서 축적한 경험과 지식을 개발도상국에 제공하여 개발도상국 '스포츠의 개발(development of sport)'에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스포츠 강국’을 넘어 진정한 ‘스포츠 선진국’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스포츠 자체의 개발만이 아닌, 스포츠를 통해 국제 사회의 평화와 번영에 이바지할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SFD Movement를 추구해야 할 것이다.
국제스포츠협력센터(ISC: International Sport Cooperation Center of Korea)는 세계태권도연맹(WTF: World Taekwondo Federation)과 공동으로 2015년 10월 26일 서울 더 플라자 호텔에서 “스포츠, 더 나은 세상을 꿈꾸다(Sport for a Better World)"를 주제로 2015 국제스포츠협력컨퍼런스(ISC Conference 2015)를 개최하였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국내·외 전문가가 한자리에 모여 '스포츠와 개발' 과 관련한 심도있는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날 컨퍼런스에는 세계태권도연맹(WTF: World Taekwondo Federation) 조정원 총재, 유엔난민기구(UNHCR: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한국대표부 대표 Dirk Hebecker,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의 김태균 교수, Olympafrica Foundation의 CEO이자 IOC의 Public Affairs and Social Development through Sport Commission 위원인 Thierno Alassane Diack, 경상대학교의 하재필 교수가 연사로 나서, 스포츠와 개발에 대한 깊이 있는 식견을 공유하였다.
- 왼쪽부터 조정원 WTF 총재, Dirk Hebecker UNHCR Korea 대표, 김태균 서울대 교수, Thierno Alassane Diack Olympafrica CEO, 하재필 경상대 교수 -
WTF의 조정원 총재는 태권도박애재단(THF: Taekwondo Humanitarian Foundation)의 활동에 대해 발표하였다.
조 총재는 올해 말과 내년 초에 걸쳐 요르단 난민 캠프에서 진행되는 Pilot Programme의 실시를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태권도박애재단의 활동이 전개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또한, 태권도가 인종과 종교, 문화와 성별, 언어를 초월함은 물론 별다른 장비가 필요하지 않은 스포츠임을 강조하며, 시리아 난민 등, 전 세계의 소외된 이웃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을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날 가장 큰 관심을 끌었던, UNHCR 한국대표부 대표 Dirk Hebecker는 전 세계 난민의 수가 세계 2차대전 이후로 최대인 점을 강조하며, 난민들을 실질적이고 체계적으로 돕기 위해 여러 기관과의 협력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Hebecker는 UNHCR의 모든 활동에 세계 시민들의 관심과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당부도 잊지 않았다.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의 김태균 교수는 UN이 새롭게 발표한 지속가능개발목표가 스포츠계에 부여하는 의미를 설명하고, 스포츠가 어떤 방식으로 이에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식견을 제공하였다. 김태균 교수는 방대한 양의 SDGs가 2030년까지 달성되기 위해서는 성과 측정(Measuring), 자금 조달(Funding), 실행(Implementation)의 측면에서 더욱 활발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Olympafrica CEO Thierno Alassane Diack는 아프리카 34개국에 세워진 38개의 Olympafrica Center가 지역민들의 참여를 통해 지속 가능한 '스포츠를 통한 개발'의 모델로 성장했다고 전하였다. Diack는 Olympafrica Center들의 자립도 향상과 활동 다양화, 외부 단체들과의 협력 증진을 통해, Olympafrica를 UN의 SDGs 달성에 이바지하면서 올림픽 정신을 전파하는 기관으로 발전시킨다는 포부를 밝혔다.
경상대학교 하재필 교수는 스포츠와 개발에 관한 학문적 개념을 소개하고, 개발을 위한 스포츠(Sport for Development) Movement의 효과적인 구현을 위해서 국제사회의 더 많은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왼쪽부터 이은철 ISC 이사장, 조정원 WTF 총재 -
국제스포츠협력센터(ISC: International Sport Cooperation Center of Korea)는 2013년부터 IOC의 공식 후원을 받아 매년 ISC Conference를 개최해 왔다.
ISC는 세계적인 난민 문제와 개발협력 현안을 해결함에 있어 스포츠가 어떠한 책임과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는지 논의하기 위해 '스포츠, 더 나은 세상을 꿈꾸다(Sport for a Better World)'를 이번 컨퍼런스의 주제로 선정하였다. 컨퍼런스 참석자들은 '개발을 위한 스포츠(Sport for Development)'의 중요성에 대해 깊이 공감하고 활발하게 의견을 공유하였다.
1992바르셀로나올림픽 사격 금메달리스트 출신의 이은철 ISC 이사장은 국내 유일의 IOC 공식 후원 행사인 ISC 컨퍼런스를 통해 대한민국 스포츠가 한 단계 도약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은철 이사장은 그동안 국제무대에서 눈부신 성적을 거두어온 대한민국 스포츠가 이제는 사회적 책임과 참여, 그리고 공유가치창출(Creating Shared Value)에 대해 고민해야 할 시점이 왔다고 밝히며, 대한민국 스포츠의 선진화를 위해 ‘스포츠와 개발' 대한 심도있는 논의와 정책 개발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참고자료
Contribution of Sport to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Retrieved from http://www.un.org/wcm/webdav/site/sport/shared/sport/pdfs/
Backgrounders /Sport%20and%20the%20MDGs
_FACTSHEET_February%202010.pdf
Levermore, R. (2008). Sport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Time to treat it seriously? Brown Journal of World Affairs, XIV(2), 55-66.
Lyras, A., & Welty Peachey, J. (2011).
Integrating sport-for-development theory and praxis. Sport Management Review, 14, 311-326.
What is Sport for Development and Peace? Retrieved from
http://assets.sportanddev.org/downloads
/what_is_sport_for_development_and_peace.pdf
International Platform on Sport for Development.
Retrieved from sportanddevelopment.or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Retrieved from https://sustainabledevelopment.un.org/topics
Transforming Our Worl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etrieved from https://sustainabledevelopment.un.org/post2015/
transformingourworld
IOC President calls sport a ‘natural partner’ for realiz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during speech to the United Nations.
Retrieved from
http://www.olympic.org/news/ioc-president-
calls-sport-a-natural-partner-for-realisation-of-
sustainable-development-goals-during-speech-to-the-united-nations/247232
Remarks on the Occasion of the Adoption of the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Retrieved from
http://www.olympic.org/Documents/
IOC_President/UN-SDG-speech-2015.pdf
 |
ISC의 모든 콘텐츠는 독자여러분들과 함께 만들어 나갑니다.
의견이나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admin@i-sr.org로 연락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