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ympic Agenda 2020 그리고 한국 스포츠 > 최신뉴스

본문 바로가기
최신뉴스
최신 국제 스포츠 뉴스 소식을 전해 드립니다.
국제스포츠 NEWS
최신뉴스
TOP
Olympic Agenda 2020 그리고 한국 스포츠
2015-04-09 14:55:41
 
국제스포츠지식

Olympic Agenda 2020 그리고 한국 스포츠

Status of the Implementation of Olympic Agenda 2020
        2015년 3월 3일, 대한체육회국민생활체육회를 통합하는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안이 통과됨에 따라, 두 단체가 2016년 3월까지 통합될 예정이다. 이후 '대한체육회-국민생활체육회 통합추진위원회'가 구성되는 등 한국 스포츠계의 일대 변화가 추진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국제스포츠계 역시 혁신의 바람이 불고 있다.  IOC(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는 2014년 12월 IOC 총회에서 올림픽 무브먼트의 중장기 로드맵인 Olympic Agenda 2020을 통과시켰다.    OA 2020 설명   IOC는 이를 위해 약 1년전부터 활발한 의견 교환과 브레인스토밍을 실시하였고, 외부 전문가를 포함한 14개의 Working Group을 신설하여 분야별로 세부적인 논의들이 진행되도록 하였다. 또한, IF, NOC, NGO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014년 7월에는 올림픽 무브먼트 이해관계자 대표들을 모아 Olympic Summit을 개최하였다.    타임라인2   총회에서 만장일치로 40개의 권고안이 통과된 후, IOC는 여러 차례에 걸쳐 Olympic Agenda 2020의 실행 현황을 공개하고 있다. 특히, 4월 2일에는 IOC 위원장과 위원들에 대한 재정 보상 정책(Indemnity Policy)을 대중에 공개하면서, 회장들의 연봉에 대해 철저하게 기밀을 유지하고 있는 FIFA(International Association Football Federation)나 UEFA(Union of European Football Associations)와는 대조적인 움직임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Olympic Agenda 2020의 실행 현황
  Olympic Agenda 2020은 5개의 Cluster, 14개 Working group 분야, 총 40개 Recommendation(권고안)으로 이루어져 있다.     overview1IOC는 2015년 4월 2일, 40개 중 17개 권고안에 대한 실행 현황(Status of the implementation)을 발표하였다.       cluster1
권고안 1. 올림픽 유치 절차 변화 (Shape the bidding process as an invitation)
  권고안 내용  IOC는 권고안 1번을 통해 기존 신청도시단계(Applicant Phase)-후보도시단계(Candidate Phase)-개최도시(Host city)로 구성되었던 올림픽대회 유치 절차에 초청 단계(Invitation Phase)를 추가하여, 대회 유치의사가 있는 도시들을 초청하는 형식으로 유치 절차를 진행할 것임을 명시하고 있다.   실행 현황 초청 단계는 2015년 1월 15일부터 시작된 2024올림픽 유치 과정부터 도입되었다. IOC가 배포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2015년 2월 11일 이탈리아 로마의 2024올림픽유치위원회 관계자들이 IOC 본부를 방문하여 IOC 관계자들과 면담을 가졌다. 또한, 3월 2일에는 독일 NOC 관계자들이 IOC 본부를 방문하여 올림픽 수석 국장인 Christophe Dubi와 만나 2024올림픽 유치 과정에 대한 논의를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Bach 위원장은 올림픽 유치를 희망하는 도시들이 올림픽 대회의 활용 방안과 레거시(Legacy) 구축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초청 단계를 도입하였다고 언급하며, 여러 도시들이 이를 잘 활용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럽다고 밝힌 바 있다.     
권고안 2. 유치도시 평가 기준의 변화 (Evaluate bid cities by assessing key opportunities and risks)
  권고안 내용  IOC는 대회 유치 시 발생가능한 위험과 기회를 모두 유치도시 평가요소에 포함시켜 올림픽 대회의 지속가능성과 레거시(Legacy)를 강화시키고자 한다.  특히, 기존 시설의 활용을 극대화하고, 장기적인 베뉴 레거시가 필요하지 않거나 적합하지 않은 곳들은 임시시설 및 해체 가능한 베뉴(temporary and demountable venues)를 최대한 활용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실행 현황 Olympic Agenda 2020 통과 이후, 2022동계올림픽 유치후보도시인 카자흐스탄 알마티는 올림픽 유치 계획을 변경하여 IOC에 제출하였다. 변경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두개 지역(Shymbulak Resort and Tau Park Alpine)의 신규 베뉴 건설 계획 철회
  • 알파인 스키 경기(event)는 기존의 Almatau Mountain의 베뉴에서 개최
  • 스키와 스노보드 경기는 기존 베뉴인 Ak Bulak Resort에서 개최
  • Medeu 선수촌의 수용 규모 축소
  • 기존 Medeu Mountain Media Sub Centre 건설 계획 및 이 지역의 미디어 숙박시설 건설 계획 철회  등
지난 2015년 2월, 알마티를 방문하여 변경안을 보고받은 IOC 후보도시평가위원회(IOC Evaluation Commission)는 수정된 올림픽 유치안을 바탕으로 알마티가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인(affordable) 대회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권고안 3. 유치 비용 경감 (Reduce the cost of bidding)
  권고안 내용  IOC는 Olympic Agenda 2020을 통해 올림픽 유치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경감시키기 위한 여러 조치들을 시행하고자 한다. 조치 중에는 평가위원회의 개최도시 방문 비용, 유치위원회 측의 스위스 로잔 방문 비용 등을 IOC가 일부 부담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실행 현황 IOC는 올림픽 유치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경감시키기 위한 여러 조치들을 2022동계올림픽 유치 과정에 적용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IOC의 2022동계올림픽 평가위원회는 2015년 2월 14일부터 18일까지 2022동계올림픽의 두 유치후보도시 중 하나인 카자흐스탄 알마티에 대한 실사를 진행하였으며, 3월 24일부터 28일까지 또다른 후보도시인 중국 베이징을 방문하였다.      
권고안 4. 올림픽 대회의 모든 측면에 걸쳐 지속가능성 적용 (Include sustainability in all aspects of the Olympic Games)
  권고안 내용  IOC는 올림픽 대회가 지속가능하고 높은 개최 효과를 지닌 국제스포츠이벤트가 될 수 있도록 지원 시스템을 확립하고자 한다.  특히, 신생 조직위원회들이 대회 개최 전반에 걸쳐 지속가능성을 적용하기 위한 최적의 거버넌스(the best possible governance)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임을 밝혔다.    실행 현황 IOC는 2015년 2월 브라질 리우에서 개최된 집행위원회를 통해 베뉴(venue)와 관련한 2020도쿄올림픽의 마스터 플랜 변경에 동의하였다. 이는 개최 비용 경감을 위한 목적으로 내려진 결정이었으며, 플랜 변경으로 인해 도쿄조직위원회는 10억 USD의 예산을 절감하였다고 밝혔다.     
권고안 10. 올림픽 프로그램 구성 (Move from a sport-based to an event-based programme)
  권고안 내용  IOC는 올림픽 프로그램의 구성을 기존 Sport-Discipline-Event에서 Sport-Event로 단순화하며, 각 대회 조직위원회가 1개 또는 그 이상의 추가 경기(Event)를 제안하는 것을 허용하였다.    실행 현황 IOC 집행위원회는 2015년 2월, 2020도쿄올림픽에 추가될 경기 선정 일정을 다음과 같이 승인하였다. 
  • 2015년 6월 예정인 차기 집행위원회에서 2020도쿄올림픽 추가 경기 선정을 위한 기준(criteria) 승인
  • 2015년 9월 15일, 2020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가 IOC에 추가 경기 제안
  • IOC 프로그램위원회(Programme Commission)가 제안 검토 후 IOC 집행위원회에 권고안 제시
  • 2020도쿄올림픽에 추가될 경기에 관한 최종 결정은 2016년 브라질 리우에서 개최되는 IOC 총회에서 이루어질 예정
       
권고안 13. 올림픽 무브먼트 이해관계자들과의 시너지 극대화 (Maximise synergies with Olympic Movement stakeholders)
  권고안 내용 IOC는 올림픽 대회의 기획과 운영 측면에서 IF들의 역할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IOC는 기술적 책임(technical responsibilities)들을 대회 조직위원회로에서 각 IF로 이양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실행 현황 IOC는 2016리우올림픽에서의 IF 역할을 강화하였다고 밝힌 바 있다.        cluster2
권고안 14. 올림피즘의 기본원칙 제6조 강화 (Strengthen the 6th Fundamental Principle of Olympism)
  권고안 내용  국제사회는 2014소치동계올림픽 당시 러시아의 동성애선전금지법에 따른 성적 소수자 차별 문제를 IOC에 수차례 제기한 바 있다. 이에 IOC는 올림픽 헌장의 '올림피즘의 기본원칙' 제6조에 성적 성향에 따른 차별 금지 내용을 명시하고자 하였다.   실행 현황 Olympic Agenda 2020 통과 이후 개정된 올림픽 헌장의 '올림피즘의 기본원칙' 제6조에는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다. "The enjoyment of the rights and freedoms set forth in this Olympic Charter shall be secured without discrimination of any kind, such as race, colour, sex, sexual orientation, language, religion, political or other opinion, national or social origin, property, birth or other status."     
권고안 16. 정정당당한 선수 보호를 위해 2천만 USD 기금 활용 (Leverage the IOC USD 20 million fund to protect clean athletes)
  권고안 내용   IOC는 총 2천만 USD의 기금을 아래와 같이 사용하고자 하였다.  승부조작 및 관련 비리 근절: 1천만 USD 도핑방지 연구 지원: 1천만 USD   실행 현황 IOC는 도핑방지와 관련된 세 개의 프로젝트를 승인하였으며, 도핑방지 연구 지원을 위한 1천만 USD를 통해 이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IOC는 2015년 4월 13일 각국 정부, INTERPOL, Europol, EU, UN 기구, 스포츠 베팅 기관, 올림픽 이해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International Forum for Sports Integrity를 개최하고자 한다.        cluster3
권고안 19. 올림픽 채널 (Launch an Olympic Channel)
  권고안 내용  IOC는 올림픽 대회 기간 외에도 올림픽 종목과 선수가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올림픽 방송 채널을 신설하고자 한다.    실행 현황 IOC 집행위원회는 2015년 2월 올림픽 채널의 경영구조(management structure)를 확정하였다. 총 100만 CHF의 주식자본(share capital)으로 Olympic Channel Services (OCS) S.A.가 스위스에 설립될 예정이다.  올림픽 채널의 핵심 콘텐츠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계획이다.   
  • Original programming
  • Live and highlights of sports events
  • News
 IOC는 올림픽 채널의 개국 일시를 2016년 4월로 발표한 바 있다.     
권고안 20.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Enter into strategic partnerships)
  권고안 내용 IOC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NGO 및 IOC의 TOP스폰서들과 협력을 강화하고, 사회공헌 활동을 증진하는 한편 스포츠를 통한 사회 변화에 앞장서고자 한다.   실행 현황 IOC는 아래와 같은 NGO들과 협력 방안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고 밝혔다.
  • The International Trade Union Confederation
  • Transparency International
  • Human Rights Watch
  • The Committee to Protect Journalists
   
권고안 22. 올림픽 가치에 기반을 둔 교육 확산  (Spread Olympic values-based education)
  권고안 내용 IOC는 Olympic Agenda 2020을 통해 전세계적으로 학교 교과과정에 스포츠와 스포츠의 가치를 포함시킬 수 있도록 UNESCO(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s)와의 파트너십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언급하였다.   실행 현황 IOC, UNESCO, NGO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Intergovernmental Committee for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CIGEPS)는 2015년 1월 30일에 IOC 본부에서 체육교육의 기준을 제시하는 지침인 QPE Guidelines(The Quality Physical Education Guidelines)을 발표하였다.       cluster4
권고안 29. 재정 투명성 강화 (Increase transparency)
  권고안 내용 IOC 위원장과 위원은 기본적으로 자원(volunteers)해서 IOC를 위해 일한다. 다만, IOC는 정책 상 이들에게 기본적인 행정적 비용을 지급한다. IOC는 이러한 비용의 투명성 확보를 위해 국제기준인 IFRS(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를 도입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실행 현황 IOC 윤리위원회(Ethics Commission)는 IOC의 새로운 보상 정책(Indemnity Policy)을 제안하였고, 2015년 2월에 IOC 집행위원회가 이를 승인하였다. 윤리위원장인 Youssoupha NDIAYE는 2015년 3월 31일에 IOC 위원들에게 서한을 통해 이를 전달하였다. IOC가 공개한 새로운 보상 정책은 다음과 같다. IOC 위원 
  • 연간 7,000 USD의 행정비용 지급 
  • 분과위원회, 총회, 올림픽 대회에 참석하는 IOC 위원에 450 USD의 일비 지급(행사 당일, 전날·다음날 포함)
IOC 분과위원회 위원장 
  • 본인이 의장직을 수행하고 있는 분과위원회 회의 참석 시, 분과위원장에 900 USD의 일비 지급(행사 당일, 전날·다음날 포함)
IOC 집행위원 
  • IOC 집행위원회 회의에 참석하는 집행위원에 900 USD의 일비 지급(행사 당일, 전날·다음날 포함)
IOC 위원장 
  • 집행위원회 회의와 올림픽 대회 참석 시, 집행위원과 동일한 규정 적용
  • 연간 225,000 Euro 지급
   
권고안 31. 법규준수 강화 (Ensure compliance)
  권고안 내용 IOC는 법규준수(compliance)에 대한 인식 강화 및 투명성 증대를 위해 준법감시인(Compliance Officer)직을 신설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준법감시인의 역할은 IOC 위원, IOC 사무국 직원, NOC 등 모든 올림픽 무브먼트 이해관계자들에게 법규준수와 관련한 자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행 현황 IOC는 2015년 4월 2일에 Chief Ethics and Compliance Officer직에 IOC 윤리위원회 총무(secretary)직을 수행해온 Pâquerette Girard Zappelli를, Chief Internal Audit Officer직에 IOC 회계감사위원회(Audit Committee) 총무 Will Keenan을 임명하였다.     
권고안 32. 윤리 규정 강화 (Strengthen ethics)
  권고안 내용 권고안 32는 IOC의 윤리규정을 재점검하고 윤리 기준을 더욱 강화하고자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IOC는 윤리위원회(Ethics Commission)가 IOC의 윤리규정 및 절차 관련 규정이 Olympic Agenda 2020에 부합되는 가운데 투명성(transparency), 굿 거버넌스(good governance), 책임성(accountability) 등을 담보하는지 여부를 검토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실행 현황 IOC는 IOC 윤리위원회(Ethics Commission)가 Olympic Agenda 2020에 따라 IOC 윤리강령(Code of Ethics) 검토를 마쳤다고 밝혔다.    
권고안 33. Olympism in Action 프로그램에 TOP 스폰서의 역할 및 권한 부여 (Further involve sponsors in “Olympism in Action” programmes)
  권고안 내용 IOC는 Olympic Agenda 2020을 통해 TOP 스폰서들의 역할을 확대하고, 브랜드 노출 기회를 확대하고자 하였다.    실행 현황 IOC는 2015년 1월 27일 TOP 스폰서 대상의 회담을 개최하여, Olympic Agenda 2020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고 향후 TOP 스폰서와의 협력 방안을 논의하였다.  특히, 이 회담을 통해 TOP 스폰서들을 "Olympism in Action" 프로그램에 참여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권고안 35. TOP 스폰서와 NOC 간 관계 강화 (Foster TOP sponsors’ engagement with NOCs)
  권고안 내용 IOC는 Olympic Agenda 2020을 통해 TOP 스폰서NOC의 자산을 적극 활용하고, NOC의 마케팅 역량 또한 강화할 수 있는 활로를 만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TOP 스폰서의 지역 마케팅 전략 및 NOC와의 시너지를 증대시키기 위한 맞춤형 대책을 마련할 것임을 밝혔다.    실행 현황 IOC는 2015년 1월 27일 TOP 스폰서 회담을 통해 TOP 스폰서와 NOC 간 협력 강화를 위한 방안에 대한 논의 또한 진행하였다고 언급하였다.        cluster5
권고안 39. 올림픽 무브먼트와 사회 간 대화 증진 (Foster dialogue with society and within the Olympic Movement)
  권고안 내용 IOC는 기존의 모든 IOC World Conference들을 통합하여 "Olympism in Action" Congress를 신설하고자 한다. IOC는 이 Congress가 2017년부터 올림픽이 개최되지 않는 해에 4년에 한 번씩 개최될 것이며, 첫 번째 Congress에 투입될 예산은 약 1,280만 USD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실행 현황 제1회 "Olympism in Action" Congress2017년 페루 리마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페루 리마는 2014년 12월 9일 IOC 총회에서 핀란드 헬싱키를 꺾고 2017년 IOC 총회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이에 따라 리마는 2017년에 처음으로 신설될 "Olympism in Action" Congress 개최 우선권도 동시에 확보하게 되었다.  한편, 2017년 페루 리마에서는 SportAccord가 주최하는 제3회 World Combat Games 또한 개최될 예정이다.     결론사진2   한국 스포츠는 대한체육회와 국민생활체육회의 통합을 앞두고 일대 변화의 기로에 서있다. IOC 또한 올림픽과 IOC의 가치 혁신을 위해 7년간의 개혁 프로세스인 Olympic Agenda 2020을 추진 중이다. 한국 스포츠는 이러한 변화를 창조적으로 수용하고, 더 나아가서는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시급하다.  Olympic Agenda 2020이라는 개혁안의 "내용" 뿐만 아니라, IOC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체계적으로 수렴하고 합의를 도출하는 "과정" 또한 한국 스포츠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ISF에서 매주 발행하는
국제스포츠 지식·정보를 만나보세요!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합니다.